연구보고서
청소년의 사회적 참여 활성화를 통한 저소득 가정 아동 지원방안 Ⅱ: 청소년멘토링 시범사업 운영 및 효과측정
- 발행사항
-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208p. : 삽도, 27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부록을 포함하고 있음
- 원문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2674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267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2267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2267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 초 록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멘토링 시범사업의 운영과 멘토와 멘티에 대한 효과 검증을 통해서 청소년멘토링의 청소년에 대한 유용한 가치를 확인하고, 청소년멘토링의 구조와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 분석을 바탕으로 청소년멘토링 모델의 개발과 확산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대학생 멘토(240명)와 저소득아동 멘티(240명)로 구성되는 6개의 청소년멘토링 시범사업을 운영하였고,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멘토(204명)와 멘티(211명)를 대상으로 멘토링활동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3개 시범사업모델 기관의 중·고·대학생 멘토(총 15명)와 초등학생 멘티(총 13명) 각 3개 집단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양적 조사 결과, 멘토링활동 후에 남자 멘티와 농산어촌 멘티에게서 일탈행동이 감소하였다. 농산어촌지역의 중학생멘토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티는 우울감이 감소한 효과를 보인 반면, 농산어촌지역의 고등학생멘토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티는 우울과 공격성이 증가하였고, 학교유대감과 친구유대감이 감소하였다. 도시지역 고등학생 멘토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티는 자기유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멘토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아동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성별로는 여자 멘토는 아동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지만, 남자 멘토는 사회적 책임감이 증가하였다. 지역별로는 도시지역 멘토는 아동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책임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농산어촌 멘토는 아동에 대한 이해와 자아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중학생멘토들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학생 멘토들은 아동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책임감이 증가하였고, 대학생 멘토들은 아동에 대한 이해, 자신감, 자기표현,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진로성숙도가 높아졌다.
질적 분석 결과, 양적인 효과측정에서와는 달리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와의 정서적 친밀감 형성, 부모, 형제 등 멘티 가족에 대한 관계 개선, 학습에 대한 자신감, 진로에 대한 희망 등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멘토에게는 멘티와의 정서적 친밀감과 유대감 형성, 자아성장의 기회, 사회적 책임감과 자신감 형성, 그리고 가족 간의 관계의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목 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제2장 청소년멘토링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 동향
1. 청소년멘토링이 멘티에 미치는 효과
2. 청소년멘토링이 멘토에 미치는 효과
제3장 청소년멘토링 시범사업 운영
1. 시범사업 기관의 선정
2. 시범사업 운영
3. 소결
제4장 청소년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양적 측정
1. 효과측정 설계
2. 효과측정 도구의 구성
3. 청소년멘토링 효과 측정
4. 소결
제5장 청소년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1. 연구개요
2. 연구대상
3. 연구결과
4. 소결
제6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멘티 효과성 측정도구
2. 멘티 효과성 측정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