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아시아문화원형총서 3
동아시아인의 통과의례와 생사의식
- 발행사항
- 전남: 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 형태사항
- p351 : 삽도, 23cm
- 총서명
- 아시아문화원형총서 3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405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2405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아시아에는 과거 수많은 민족과 국가가 있었고 지금도 그렇다. 때문에 아시아라고 하여도 사실 삶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를 타자로 하여 보면 아시아는 아시아로서의 모종의 문화전통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 문화전통을 형성하는 ‘어떤 것’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아시아문화원형’이라 부른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아시아문화원형’을 찾아 나선 우리는 지난해 ‘생사관’과 ‘창세문화’를 키워드로 하여 아시아문화원형총서를 간행한 바 있다. 그리고 이제 ‘동아시아인의 통과의례와 생사의식’이라는 제목으로 본 도서를 내놓게 되었다.
본서의 주요내용은 제1부 동아시아인의 삶과 통과의례로 고대 한반도인의 삶과 그 원형적 의의, 한국의 전통적인 일생의례, 우란분재(盂蘭盆齋)에 보이는 통과의례, 한자 ‘吉·凶’에 반영된 통과의례, 중국 납서족(納西族)의 상장의례, 한국설화의 죽음과 재생, 일본 아이누의 죽음의례, 일본의 신도식 상례를 다루었으며, 제2부 동아시아인의 죽음과 생사의식으로 한국 현대시인 기형도 시의 죽음의식, 중국 묘족(苗族)의 생사관, 도연명(陶淵明) 시 [형영신(形影神)]의 생사관, 『도노 모노가타리(遠野物語)』와 일본인의 이향관(異鄕觀), 오키나와의 생사관, 일본신화에 보이는 여신의 죽음, 가면극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중세 일본설화에 나타난 공포와 괴이 등을 실었다.
본서가 관련학문을 연구하고 관심 있는 재현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원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아시아문화원형’을 찾아 나선 우리는 지난해 ‘생사관’과 ‘창세문화’를 키워드로 하여 아시아문화원형총서를 간행한 바 있다. 그리고 이제 ‘동아시아인의 통과의례와 생사의식’이라는 제목으로 본 도서를 내놓게 되었다.
본서의 주요내용은 제1부 동아시아인의 삶과 통과의례로 고대 한반도인의 삶과 그 원형적 의의, 한국의 전통적인 일생의례, 우란분재(盂蘭盆齋)에 보이는 통과의례, 한자 ‘吉·凶’에 반영된 통과의례, 중국 납서족(納西族)의 상장의례, 한국설화의 죽음과 재생, 일본 아이누의 죽음의례, 일본의 신도식 상례를 다루었으며, 제2부 동아시아인의 죽음과 생사의식으로 한국 현대시인 기형도 시의 죽음의식, 중국 묘족(苗族)의 생사관, 도연명(陶淵明) 시 [형영신(形影神)]의 생사관, 『도노 모노가타리(遠野物語)』와 일본인의 이향관(異鄕觀), 오키나와의 생사관, 일본신화에 보이는 여신의 죽음, 가면극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 중세 일본설화에 나타난 공포와 괴이 등을 실었다.
본서가 관련학문을 연구하고 관심 있는 재현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원한다.
목차
목차
제1부 동아시아인의 삶과 통과의례
고대 한반도인의 삶과 그 원형적 의의_양회석
한국의 전통적인 일생의례_나경수
우란분재(盂蘭盆齋)에 보이는 통과의례_장춘석
한자 ‘吉·凶’에 반영된 통과의례_김태완
중국 납서족(納西族)의 상장의례_이주노
한국설화의 죽음과 재생_김자현
-<콩쥐팥쥐>설화를 중심으로-
일본 아이누의 죽음의례_최원경
일본의 신도식 상례_조아라
-신장제(神葬祭)의 비대중화를 중심으로-
제2부 동아시아인의 죽음과 생사의식
한국 현대시인 기형도 시의 죽음의식_엄영욱
중국 묘족(苗族)의 생사관_류창진
도연명(陶淵明) 시 <형영신(形影神)>의 생사관_최진희·양회석
『도노 모노가타리(遠野物語)』와 일본인의 이향관(異鄕觀)_김용의
오키나와(沖?)의 생사관_가리마타 게이치
-저승생활-
일본신화에 보이는 여신의 죽음_황명월
가면극에 나타난 한국인의 생사관_임세경
-해서탈춤을 중심으로-
중세 일본설화에 나타난 공포와 괴이_최가진
-백귀야행(百鬼夜行)의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