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청소년정책연구 동향 분석 및 과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년간의 연구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형태사항
118 p: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313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31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531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531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5년 간 수행했던 연구과제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과제에 대한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1989~2013년까지 수행된 연구과제를 5년 단위로 구분하여 주요 동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연구과제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과제를 몇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내용을 파악하는 한편 연구자별로 수행한 과제수와 연구주제를 살펴보았고, 연구과제에서 제안한 정책 제언들을 분석하였다. 셋째,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정책연구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내용 분석을 위해, 연구과제에 대한 양적분석과 내용분석 및 전문가 자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전체 연구과제에 대한 동향 분석 결과, 내부과제와 외부과제는 7:3의 비율로 수행되었으며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과제가 다수를 차지한 반면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한 과제는 매우 적었다. 또한 일반청소년 집단을 조사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가 약 66%였으며, 전기청소년 집단에 비해 후기청소년 집단을 조사대상으로 수행된 연구 역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과제와 외부과제로 구분하여 동향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 성격에 따라 연구과제의 수와 연구방법, 조사대상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에서도 주제별로 수행된 연구과제의 수, 수탁발주처, 연구방법과 조사대상에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과제에 대한 내용 분석에서는 연구과제를 5개 주제로 분류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연구자별 과제수와 연구주제, 정책 제언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졌다. 연구자별 평균 전체 과제 수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에는 평균 4.6개의 과제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자별 연구주제는 비교적 유사한 연구주제부터 매우 다양한 연구주제까지 다소 편차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향 분석 및 내용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과제의 성과 및 향후 과제를 도출하였다. 상술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정책연구 발전 방안을 연구과제의 발굴, 연구인력의 활용, 정책개발의 전문성 측면에서 제안하고 각 방안별로 2~3가지 세부 과제를 제안하였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5 1) 연구내용 5 2) 연구방법 6 Ⅱ. 논의의 배경 9 1. 한국 청소년정책 동향 및 발전 과정 11 1) 한국 청소년정책의 발전 과정 11 2) 한국 청소년정책의 주요 내용 13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혁 및 발전 과정 20 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과제 분석 23 1. 연구과제 동향 분석 25 1) 전체 연구과제 동향 분석 26 2) 연구유형별 동향 분석 40 3)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49 2. 연구과제 내용 분석 65 1) 연구주제별 내용 분석 65 2) 연구자별 과제수와 연구주제 분석 84 3) 정책 제언에 대한 분석 90 3. 연구과제의 성과 및 향후 과제 93 Ⅳ. 청소년정책연구 발전 방안 95 1. 연구과제의 발굴 측면 97 1) 기존 연구과제에 대한 지도그리기(mapping) 98 2) 실별 전문성 강화 및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정책협의회 개최 99 3) 연구과제 분류 기준 개발 및 적용 100 2. 연구인력의 활용 측면 102 1) 연구자별 연구 분야에 대한 전문성 제고 102 2) 연구영역별 외부 전문가 풀(pool) 확보 103 3. 정책개발의 전문성 측면 104 1) 청소년정책에 대한 분석 및 평가 결과 아카이브 구축 104 2) 청소년정책학의 토대 마련 104 3) 정책 모니터링단 운영 105 Ⅴ. 결론 107 참고문헌 113 Abstract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