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Ⅱ):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을 중심으로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형태사항
528 p: 삽도, 26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784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784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목차
Ⅰ. 서 론 /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3 가. 연구 필요성 / 3 나. 연구 목적 / 7 2. 연구내용 및 방법 / 9 가. 연구내용 / 9 나. 연구방법 / 11 3. 이론적 검토 및 국내외 정책 사례 분석 / 16 가. 공공장소에서의 위험과 여성안전 / 16 나. 젠더관점에서의 위험과 안전 / 20 다. 공공장소 안전정책 / 22 라. 성인지적관점에서의 여성안전교육 / 33 Ⅱ. 공공장소 안전인식 현황에 대한 언론보도 자료 분석 : 공중화장실을 중심으로 / 37 1. 연구의 목적 및 분석방법 / 39 2. 분석내용 / 41 가. 공중화장실 안전과 관련된 기사 수 분석 / 41 나. 공중화장실 안전과 관련된 사건 분석 / 42 다. 공중화장실 안전과 관련된 대안 분석 / 48 3. 소결 / 63 Ⅲ.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실태조사 / 67 1. 조사개요 / 69 가. 조사목적 / 69 나. 조사방법 / 69 2. 생애주기별 공공장소 이용경험 및 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 74 가. 생애주기별 공공장소 이용경험의 성별차이 / 74 나. 생애주기별 안전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 86 다. 생애주기별 남성과 여성의 공공장소 안전사고 경험률의 성별차이 / 103 라. 공공장소에서의 안전사고 재발방지 행동 / 117 3.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 조사 분석 / 124 가.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 124 나.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 수강 의향 / 125 다. 생애주기별 공공장소에서의 안전교육 방법 선호도 / 127 라.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수강 의향이 없는 이유 / 132 4. 가구소득별 공공장소 이용경험 및 안전사고 위험도와 경험의 성별차이 / 139 가. 가구소득별 공공장소 이용경험의 성별차이 / 139 나. 가구소득별 안전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 146 다. 가구소득별 성별 공공장소 안전사고 경험 / 150 라. 가구소득별 안전사고 재발방지 행동의 성별차이 / 156 5. 자녀의 발달단계별 공공장소 이용경험 및 안전사고 위험도와 경험의 성별차이 / 157 가. 자녀의 발달단계별 공공장소 이용경험의 성별차이 / 157 나. 자녀의 발달단계별 안전사고 위험도에 대한 인식의 성별차이 / 162 다. 자녀의 발달단계별 성별 공공장소 안전사고 경험 / 172 라. 자녀의 발달단계별 안전사고 재발방지 행동의 성별차이 / 174 6. 소결 / 177 Ⅳ. 일반여성의 안전경험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 181 1.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FGI(Focused Group Interview) 개요 / 183 가.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FGI 목적 / 183 나. FGI 참여대상 및 내용 / 184 다. 조사일정 및 조사방법 / 186 2. 조사결과 / 187 가. 공공장소에서의 안전인식 및 안전사고 경험, 사고 이후 대처경험 / 187 나. 공공장소/다중이용시설에서의 안전교육 욕구 / 227 3. 소결 / 237 Ⅴ. 지역여성안전정책의 사례분석: 시민안전파수꾼 / 241 1. 시민안전파수꾼 소개 및 특징 / 243 가. 시민안전파수꾼 사업의 취지 / 243 나. 시민안전파수꾼의 현황 및 법적 근거 / 246 다. 시민안전파수꾼 모델: CERT / 247 2. 시민안전파수꾼의 공식적 교육과정 분석 / 252 가. 시민안전파수꾼의 교육범위 / 252 나. 시민안전파수꾼의 교육과정별 교육내용 / 254 3. 참여관찰 결과: 시민안전파수꾼의 실질적 교육과정 / 257 가. 실제 교육과목 진행 현황 / 257 나. 교육과목 별 세부사항 / 259 다. 수강대상에 따른 강사진의 강의 역량 / 260 4. 소결 / 261 Ⅵ. 안전교육수요에 대한 전문가조사 / 263 1. 안전교육 이수자 및 주체 FGI 개요 / 265 가. 안전교육 이수자 및 강사 FGI 목적 / 265 나. FGI 참여대상 및 내용 / 267 다. 조사일정 및 조사방법 / 276 2. 안전교육 이수자 FGI 결과: 안전교육에 대한 여성의 니즈 / 277 가. 생애주기별 여성의 안전교육 니즈 / 277 나. 공공장소별 여성의 안전교육 니즈 / 288 3. 안전교육 주체 FGI 결과: 여성 안전교육 전문가로서의 역할과 효능감 / 295 가. 여성 안전교육의 특징 및 문제점 / 296 나. 여성 안전교육 전문가로서의 역할 / 300 4. 소결 / 303 Ⅶ. 결 론 / 307 1.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강화를 위한 법적 개선사항 / 309 가. 공공장소의 안전에 관한 현행 법령의 분석 / 309 나. 공공장소의 여성안전 관련 법령의 쟁점 / 355 다. 공공장소에서의 범죄안전에 대한 인식 / 358 라. 안전조치 규정 등의 실효성 확보 / 359 2.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대안 / 359 가. 공공장소에서의 여성안전 관련 법 개선방안 / 359 나. 공공장소 여성안전 정책 강화 방안 / 368 다.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공공장소 안전교육 강화 방안 / 372 * 참고문헌 / 383 * 부 록 / 395 * Abstract / 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