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청소년 '일 경험' 제도 운영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Ⅰ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형태사항
558 p: 삽도, 24cm
일반주기
연구보고 18-R04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8353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8354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835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835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일 경험’ 제도인 직업계고 현장실습과 관련하여, 그간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실태조사가 부재했던 상황을 고려하여, 현장실습의 운영 실태를 세밀하게 살펴볼 수 있는 정책 기초자료를 산출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이 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현장실습 제도 구축을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데도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2차 자료 분석, 법령 및 정책 분석, 설문조사, 면담조사,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청소년 ‘일 경험’ 제도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실습 제도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정리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의 관점과 분석 대상 및 방향을 설정하였다. 2차 자료 분석에서는 현장실습이 직업계고 청소년들의 취업을 위한 절대적인 입직 통로로 인식되고 있지만, 예상보다 그 효과는 크지 않았고 특히 취업의 질과 연속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법령 및 정책분석에서는 현장실습 제도를 규율하는 법체계가 미비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최근 도입된 제도는 그 본래 의도와는 달리 실습생의 권익보호에 불리하게 작용할 우려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이 이루어지는 실태 파악을 위해 현장실습을 경험한 졸업생 및 재학생, 새로운 현장실습 제도에 대한 잠재적 수요자인 고3학생, 현장실습 업무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는 현장실습으로 유입되는 과정, 현장실습 운영 과정, 실습생에 대한 근로보호 실태, 현장실습의 중단과 복교,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기제’로서 현장실습, 새로 도입된 ‘학습중심 현장실습’ 제도를 위한 준비 상황 및 현장실습 제도 개선을 위한 의견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직업계고 졸업생 및 재학생, 직업계고 현장실습 담당교사와 현장실습 업체 담당자 등 현장실습과 관계된 이해당사자들의 경험과 의견을 수렴하고자 면담조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주로 현장실습 참여(운영) 경험과 그로부터 도출된 제도 개선에 관한 의견들을 수렴하였다. 특히 면담조사를 통해 산업체 담당자들의 입장과 의견을 청취하였다. 상술한 선행연구 검토, 2차 자료 분석, 법령 및 정책 분석,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 개선의 큰 방향과 세부 과제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이 취업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다양한 직업체험을 통해 ‘현장적응력을 갖춘 전문인력의 양성’ 기제가 되어야 한다고 전제하고, 이러한 현장실습 제도 구현을 위해 기본적으로 추구해야 할 정책 방향으로 ‘인권이 보장되는 일경험 환경 구축’, ‘학습으로서의 현장실습 성격 재정립’, ‘청소년의 효과적인 직업세계 이행 기제로서의 현장실습’ 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중점과제로는 인권이 보장되는 일경험 환경 구축 지원, 학습중심 현장실습의 효과적 추진 지원, 고졸 청소년/청년을 위한 취업 지원 강화, 학습 및 취업준비 과정으로서의 현장실습 재정립을 위한 법령 정비, 현장실습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환경 조성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세부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1. 문제 제기와 연구 동기 3 2. 용어의 정의 7 3. 연구내용 8 4. 연구방법 11 5. 연구추진체계 및 연도별 연구 계획 16 Ⅱ. 논의의 배경 19 1. ‘일경험’ 제도에 대한 이해 21 2. 청소년 ‘일 경험’제도로서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 23 3. 현장실습 제도를 바라보는 상반된 관점 33 4. 현장실습에 내재된 문제들 36 5. 기존 정책연구의 성과와 한계 43 6. 소결 45 Ⅲ. 현장실습 운영 현황 개괄:2차 자료 분석 51 1. 분석의 개요 53 2. 교육부 취업 모니터링 자료 분석 결과 55 3. 「2013년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자료 분석 결과 63 4. 소결 및 시사점 81 Ⅳ.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 관련 법령 및 정책 분석 85 1. 분석의 개요 87 2.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 관련 법령 분석:법령상의 쟁점을 중심으로 89 3.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 관련 정책 분석 106 4. 소결 및 시사점 129 Ⅴ. 실태조사의 개요 135 1. 실태조사의 설계 137 2. 설문조사의 개요 140 3. 면담조사의 개요 167 Ⅵ.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 운영 실태와 그 영향:설문조사 분석 결과 173 1. 청소년 대상 조사 결과 175 2. 전문가(현장실습 담당 교사) 대상 조사 결과 246 3. 심층 분석:현장실습이 성과를 거두는 조건과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274 4. 소결:요약 및 시사점 296 Ⅶ. 현장실습 제도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면담조사 분석 결과 307 1. 졸업생 면담 결과 309 2. 재학생 면담 결과 331 3. 현장실습 담당교사 면담 결과 349 4. 현장실습 업체 담당자 면담 결과 374 5.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387 Ⅷ. 현장실습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401 1. 정책제언의 개요 403 2. 직업계고 현장실습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제언의기본 방향과 목표 408 3. 정책과제 413 중점과제 1. 인권이 보호되는 일경험 환경 구축 413 중점과제 2. 학습중심 현장실습의 효과적 추진 지원 436 중점과제 3. 고졸 청소년/청년을 위한 취업지원 강화 451 중점과제 4. 학습 및 취업준비 과정으로서의 현장실습재정립을 위한 정책 추진 근거 강화 460 중점과제 5. 현장실습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정책 환경 조성 475 4. 정책과제 추진 로드맵 480 참고문헌 485 부 록 501 Abstract 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