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2022년 지방의회 여성정치인 확대를 위한 당선요인에 관한 연구
- 발행사항
-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 형태사항
- 166p: 삽도, 24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852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2852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목차
Ⅰ.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가. 연구 필요성 3
나. 연구 목적 7
2. 연구 범위와 초점 및 방법 8
가. 연구 범위 8
나. 본 연구의 초점 9
다. 연구 방법 9
3. 기존문헌에 대한 검토 11
Ⅱ. 여성정치인 당선관련 이론적 논의 17
1. 여성의 시각에서 본 2018년 지방선거 과정 19
2. 지방선거 당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
가. 후보자와 후보자 외적 요인 23
나. 여성 후보 선거 영향 요인 25
다. 선거단계 구분 및 단계별 당선 요인 26
3. 선거 공천과정과 여성대표성 실현 28
가. 정당의 기능과 공천 28
나. 공천을 통한 여성대표성 실현의 중요성 30
Ⅲ. 지방의회 여성정치인 현황 31
1. 지방의회 여성의원 현황 33
2. 광역의회 여성의원 현황 35
가. 여성 후보자 및 당선자 현황 35
나. 여성 광역의회의원 특징 43
3. 공천과 여성대표성 50
가. 여성후보자의 공천심사 기준과 공천유형별 특성 50
나. 여성후보자의 배경 특성 53
Ⅳ. 지방의회 여성정치인 당선요인과 공천과정에 관한 조사 분석 55
1. 조사 설계 57
가. 조사의 목적 57
나. 조사대상과 방법 57
다. 조사문항 58
라. 응답자 일반적 특성 60
2. 조사 분석 62
가. 출마 및 선거단계·요인에 대한 인식 62
1) 출마 계기 및 당·낙선 영향요인 62
2) 선거과정에 대한 인식 67
3) 선거관련 제약 요인 72
나. 공천단계와 성차별성 76
1) 선거 지원 및 공천과정 76
2) 공천 영향 요인 77
3) 공천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 79
4) 공천심사위원회 운영에 대한 만족도 80
5) 단수공천 제도와 전략공천에 대한 인식 81
6) 현행 여성후보자 가산점제도에 대한 인식 82
다. 여성정치인 확대방안 83
1) 공천심사위원회 구성방식의 개선 83
2) 공천방식의 개선 84
3) 정치적 여성대표성 확대방안의 시급성 85
3. 심층인터뷰 86
가. 심층인터뷰 개요 86
나. 심층인터뷰 내용 87
1) 출마 계기 87
2) 선거단계 중 중요단계와 힘들었던 단계 88
3) 2018년 지방선거 과정에서의 성차별성 90
4) 여성정치인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95
Ⅴ. 결론 101
1. 요약 103
2. 정책제언 110
가. 선거 가이드라인 구축 110
나. 지방의회 여성정치인 확대를 위한 공천제도 개선 방안 115
1) 정당차원의 공천제도 개선방안 116
2) 선거법 개정을 통한 지방의회 여성정치인 확대방안 122
다. 여성정치인 선거교육의 상설화 및 공천시 가점 부여 126
라. 성평등한 선거홍보 개선방안 127
참고 문헌 129
부록 135
Abstract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