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재외동포 차세대와 주류화

발행사항
서울: 북코리아, 2019
형태사항
352 p.: 삽도, 24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19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919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현재와 미래의 재외동포사회의 주요 키워드와 트렌드는 차세대와 주류화이다!

주류화 개념은 재외한인사회의 변화와 미래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 재외동포 차세대들이 거주국의 주류사회로 활발하게 참여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이점과 위험을 동시에 판단하고, 이들과 모국과의 관계를 예측하며,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정립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주류화 개념을 객관적이고 표준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은 재외한인연구의 경험적 토대를 탄탄하게 하고 지역별·국가별 맞춤형 재외동포정책을 개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일관된 주류화 개념과 측정지표를 사용해서 우리는 한 국가의 재외동포사회에만 국한하지 않고 세계의 여러 재외동포사회들을 비교사회학적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미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독일의 재외동포사회의 주류화와 차세대 현황을 조사한 책이다. 각 국가의 재외동포가 거주국의 주류사회에서 어느 수준의 정치적 권리와 경제적 지위를 획득했고, 사회문화적으로 통합됐는지를 경험적 자료와 분석결과를 통해서 조사한다. 그리고 주류화 개념이 개별 국가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수용되는지도 검토한다. 이 책을 통해 다양한 국가와 정치경제 체계에 있는 재외동포사회를 의미 있고 일관되게 비교하여 재외동포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자 소개

라경수 kyungsoo.rha@gakushuin.ac.jp
일본 가쿠슈인여자대학 국제문화교류학부 준교수.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 와세다대학 대학원 아시아태평양연구과 국제관계학 전공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와세다대학 아시아연구소 조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센터 객원연구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가쿠슈인여자대학 국제학연구소 부소장, 하버드대학교 아시아센터 객원연구원 등 역임. 주요 논저로는 “일본의 다문화주의와 재일코리언: ‘공생(共生)’과 ‘동포(同胞)’의 사이”(󰡔재외한인연구󰡕 제22호, 2010년 8월), “초국가주의를 통해 본 재일한인의 정체성 변용”(󰡔민족연구󰡕 제56호, 2013년 12월) 등이 있다.

민병갑 pyonggap.min@qc.cuny.edu
퀸즈칼리지 사회학과 석좌교수. Research Center for Korean Community 소장. 조지아주립대학교 사회학 박사. 주요 논저로는 Preserving Ethnicity through Religion in America, Korean Protestants and Indian Hindus in New York City, Solidarity for Economic Survival, Changes and Conflicts, Caught in the Middle 등 다수가 있다.

송창주 ch.song@auckland.ac.nz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 아시아학과 교수. 미국 하와이대학 정치학 박사. 라트비아 리가 스트라딘쉬 대학 및 우크라이나 르비프 대학 교수 역임. 주요 논저로 Diasporic Returns to the Ethnic Homeland: The Korean Diaspora in Comparative Perspective(2018 공편), Asian Ethnicity, Nomos, Journal of Ethnic Foods, ≪재외한인연구≫, ≪關西大學法學論集≫ 등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이 다수가 있다.

오숙희 ohso@umkc.edu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사회학과 부교수. 미국 New School University 공공 및 도시 정책학 박사. Brown University 사회학과 박사후 연구원.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재직. 주요 연구영역은 도시, 공간, 이민, 이민자 커뮤니티, 아시아계 미국인 연구를 포함. 이민자 집단들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동화에 관한 다수의 연구 논문들이 Social Forces, International Migration, and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등의 국제 학술지에 출판되었다.

윤인진 yoonin@korea.ac.kr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시카고대학교 사회학 박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 아시안 아메리칸학과 조교수. 재외한인학회, 북한이탈주민학회 회장, 한국이민학회 부회장,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부소장, 고려대 출판문화원장. 주요 논저로는 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 The Korean Diaspora: A Sourcebook(공편), ≪코리안 디아스포라≫, ≪북한이주민≫,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세계의 한인이주사≫, ≪한국인의 정체성: 변화와 연속, 2005-2015≫(공편),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편), ≪재외동포사회의 현황과 정책과제≫(편), ≪세계의 코리아타운과 한인 커뮤니티≫(편) 등이 있다.

임영언 yimye@hanmail.net
한남대 사회적경제지원단 교수. 일본 조치대학(上智大学)에서 경제사회학박사.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연구교수. 현재 통일부장관 제21기 통일교육위원,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 편집위원장, 재외한인학회 총무이사. 주요 연구로는 韓国人企業家:ニューカマーの起業過程とエスニック資源(長崎出版), ≪재일코리안 기업가(2006)≫, ≪글로벌 디아스포라와 세계의 한민족(2014)≫, ≪재일코리안 기업의 형성과 기업가정신(2015)≫,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문화적응과 정착기제(2017)≫ 등이 있다.

최영미 ymchoi@gfwri.kr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연구위원. 독일 본(Bonn) 대학교 사회학 박사. 재외한인학회 학술이사. 「다문화와 평화」 편집위원. 주요 논저로는 Korean descendants in Germany, ≪독일 이주민 자녀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이주민 부모교육의 역할을 중심으로≫, ≪경기도 지역 이주노동자의 주관적 차별인식과 우울: 차별대응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공편), ≪경기도 지역 이주노동자의 주관적 차별인식과 우울: 차별대응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공편), ≪제노포비아 현상에 관한 연구≫, ≪경기도 외국인근로자 지원체계와 개선과제≫ 등이 있다.

허명철 mingzhe104@qq.com
중국 연변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연변대학교 문학 박사. 연변대학교 민족학연구소 소장. 주요 논저로는 ≪전환기의 연변조선족≫, ≪조선족사회의 변동과 가족생활≫(공저),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의 일생의례와 풍속≫(공저), ≪연변조선족교육의 실태조사와 대안연구≫(공저), ≪중국조선족사회의 문화우세와 발전전략≫(공편) 등이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재미한인의 주류화와 차세대 / 윤인진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1) 이민 차세대에 관한 연구 2) 재외한인 주류화 연구 3. 주류화의 개념과 지표 1) 재외한인의 주류화 개념 정의 2) 재외한인의 주류화 지표 4. 재미한인의 주류화 현황 1) 자료 2) 주류화 현황 5. 요약 및 결론 제2장 재미동포 차세대의 현황: 인구학적·사회경제적 및 언어 사용에 관한 통계 / 민병갑 1. 서론 2. 차세대의 인구학적 특성 3. 재미동포 차세대의 사회경제적 특성 4. 가정에서의 모국어 사용률 5. 요약 및 결론 제3장 뉴질랜드와 호주 한인 이민 1.5세대와 2세대의 언어와 정체성의 문제 / 송창주 1. 호주와 뉴질랜드 한인 이민 1.5세대와 2세대 언어문제의 중요성 2. 다문화 사회의 언어정책과 이민 차세대 3. 뉴질랜드와 호주에서의 한인 이민 1.5세대와 2세들의 모국어 유지 현황 1) 뉴질랜드 2) 호주 4. 이민 차세대의 언어와 정체성 5. 결론 제4장 독일의 한국계 후세대의 높은 교육 성취에 기여하는 요인 / 최영미 1. 서론 2. 연구방법 3. 독일 이민자 자녀의 교육 현황 1) 독일 교육시스템 2) 이민자 자녀교육 현황 4. 연구결과 1) 이민자 자녀의 학업성취도 2) 개인적·구조적 요인 3) 한인 커뮤니티 5. 결론 제5장 재미동포의 주류 경제 및 정치 참여 / 민병갑 1. 서론 2. 재미동포의 인구학적 특성 3. 재미동포 이민자의 자영업 집중과 타 민족과의 갈등 4. 재미동포의 자영업 감소 및 사업상 민족 갈등 중단 5. 젊은 세대 한인들의 주류 경제 진출 6. 재미한인 커뮤니티의 정치력 신장 1) 정치력 신장의 필요성 인식과 풀뿌리 정치력 신장 단체의 활동 2) 1990년 후반부터의 한인들의 선거직 출마와 당선 7. 요약 및 결론 제6장 재미동포의 이민자 세대별 정치적 성향과 참여현황 / 오숙희 1. 서론 2. 한국계 유권자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자원 3. 한인 유권자의 정치적 성향과 비선거 참여 4. 한국계 미국인의 선거인 등록 및 투표참여 현황 5. 정치의식·정치력·정치적 대표성(Political Representation) 6. 논의 및 결론 제7장 일본정부의 재외방인 차세대 청소년 정책 고찰 / 임영언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3. 일본 정부의 차세대 청소년 교육정책의 국내외 비교분석 1) 국내 차세대 청소년 교육정책 2) 재외방인 차세대 청소년 교육정책 3) 해외귀국 자녀 차세대 청소년 교육정책 4) 한국일본인학교 운영사례 4. 결론 제8장 조선족의 주류사회 진출 및 그 한계성 / 허명철 1. 서론 2. 조선족의 생존과 문화적 정착 3. 광복 전 조선족의 정치적 선택과 주류화 실천 4. 개혁개방 이후 조선족의 정계 진출 및 그 한계성 5. 결론 제9장 ‘주류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재일한인사회 / 라경수 1. 서론 2. 재일한인사회의 인구 현황 3. 재일한인사회의 ‘주류화’ 현황 4. 재일한인의 ‘주류화’를 둘러싼 쟁점과 한계 5.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