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연구보고 R18
학생 인권교육을 위한 현장 실천 강화 방안 연구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9719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9720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297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29720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는 인권 친화적인 학교 환경 조성으로 인한 학교 내 학생의 인권 보호 및 존중을 위한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현장 실천 강화 방안을 제기하기 위해 현 학교 내 인권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실제 학교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학생 인권교육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인권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한 학교 인권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또, 인권교육에 관한 생활 철학적인 접근을 통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성을 인권적 태도 기르기, 자율성의 경험(만족), 그리고 동등성의 경험 등으로 서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부모(보호자)와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학교와 교육청이 인권교육을 위해 지향해야 할 전반적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권교육의 특징에 대하여 현장 교사의 경험을 토대로 논하였다. 이와 같은 인권교육의 학교 현장 실천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내용의 구성, 교수학습 방법, 인권교육의 학교 현장 실습 프로그램 운영방향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한 실습유형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이와 같은 학교 현장 실천 프로그램의 실천방법 또한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생 인권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성이나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인권교육의 모니터링 등의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과 학생 인권교육에 관한 법제화 노력, 그리고, 학생 인권교육 전담기구 설립 등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4
3. 연구추진의 구조적 체계 6
Ⅱ. 선행연구 검토
1. 학생 인권교육의 개념적 특징 9
2. 학생 인권교육의 실태 12
3. 학교 인권교육이 고려해야 할 사항 14
Ⅲ. 인권교육의 실천: 황금율(黃芩律)보다 은율(銀律)로 먼저 배우는 인권
1.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성 설정에 대한 담론 21
2. 인권교육 실천을 위한 학부모, 교사, 학교, 교육청의 방향성 제시 25
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권교육 50
Ⅳ. 학생 인권교육 학교현장 실천 프로그램 설계 방안
1. 학생 인권교육 학교현장 실천 프로그램 설계의 틀 57
2. 학생 인권교육 현장실습 유형별 프로그램 설계 71
3. 학생 인권교육 학교현장 실습 프로그램의 타당성 조사결과 77
4. 학생 인권교육 학교현장 실천 프로그램의 실천 방법 80
Ⅴ. 결론 및 제언
1. 학생 인권교육의 제도적 개선 85
2. 학생 인권교육의 법제화 87
3. 학생 인권교육의 전담기구 설립 87
참고문헌 89
부 록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