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연구보고 20-R24-1
위기청소년 현황 및 실태조사 기초연구: 예비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
- 발행사항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 형태사항
- 218 p.: 삽도, 24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 비통제주제어
- 위기청소년,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위기청소년 지원 정책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042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04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3004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3004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 대상 정책이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도록 지원하고자, 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될 실태조사를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과정을 거쳐 개발된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조사표(안)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하고, 수정·보완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조사내용 개선 사항을 확인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동시에 조사 문항에 대한 시범적 분석을 통해 제한적인 범위에서나마 위기청소년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는 데도 목적을 두었다. 본 [예비조사 데이터분석보고서]는 위기청소년의 실태와 현황 파악을 위해, 예비조사에 사용된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예비조사의 조사대상은 위기청소년의 다양한 유형 중에서 중복 위기를 경험하는 고위기군이 주로 분포하는 가출청소년 및 범죄·비행 청소년을 주요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표집은 해당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주요 지원기관의 입소(이용)자수를 조사 모집단으로 삼아 할당표집하였으며, 목표 표본크기는 600명이고, 확보 표본수는 627명, 실제 분석에 사용된 최종 사례수는 565명이다. 조사 내용은 ‘가정 안팎의 생활 경험’, ‘일상생활 경험’, ‘(성)폭력 피해 경험’, ‘심리·정서적 특성 및 관련 행동’, ‘정책적 수요’, ‘일반적 특성’ 등 6개 영역 14개 세부 주제 12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해당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위기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최근 1년 이내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있으며, 가출을 경험한 비율도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을 나오게 된 이유는 주로 ‘가족간의 갈등’이었고, 가출청소년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숙식을 제공해주는 생활지원’이었다.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와 관련하여,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의 비율은 21.7%로 나타났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 경험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해서, 여자청소년의 피해율(36.6%)이 남자청소년(11.8%) 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응답자의 24.3%는 최근 1년 이내에 2주 이상 지속되는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고, 지금까지 자해를 시도해본 청소년 비율은 30.5%,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청소년 비율은 20.1%로 나타나, 우울·자해·자살 시도 등을 경험한 고위기청소년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위기청소년이 주로 경험하는 어려움은 ‘내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가족 간의 갈등’이었고, 희망하는 지원서비스로는 ‘청소년이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는 일자리 제공’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예비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위기청소년 지원 정책의 추진 방향을 제언하였다.
목차
I.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예비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3
2. 조사 대상 5
3. 조사 방법 및 절차 7
4. 조사 표본 수 및 응답자 특성 8
5. 조사 기간 9
6. 조사 내용 9
7. 기타 14
Ⅱ. 「위기청소년 실태조사」 예비조사 결과 분석
1. 가정 안팎의 생활 경험 18
2. 일상 생활 경험 45
3. 폭력·성폭력 피해 경험 79
4. 심리·사회적 특성 및 표출 행동 110
5. 정책적 수요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 132
6. 일반적 특성 136
Ⅲ. 요약 및 제언
1. 주요 결과 요약 143
2. 논의 및 제언 163
참고문헌 171
부록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