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Ⅳ: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보고서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형태사항
207 p.: 삽도, 24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0709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0710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3070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3071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협동연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조사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질적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의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및 자립 상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건강한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 학교를 그만둔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로부터 수집된 방대한 질적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3개의 연구주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학교 밖 생활 및 이후 청년기까지의 경험에 대한 질적 종단연구’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학교 밖 경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심리·정서적 상태’는 아동기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학교를 그만 둔 이후의 삶에 심리·정서 측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현 20대 중반 청년)의 자립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립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지원 경험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는 해당 연구주제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학교 밖 생활 및 이후 청년기까지의 경험에 대한 질적 종단연구’는 총 12명의 학교 밖 청소년의 자료를 대상으로, 개방코딩, 범주화, 축코딩, 선택적 코딩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심리·정서적 상태’는 아동기 시절에 부정적 생애경험을 한 총 14명의 학교 밖 청소년들의 자료를 토대로, 귀납적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현 20대 중반 청년)의 자립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는 총 12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중소도시·읍면지역에 거주하는 15명의 학교 밖 청소년 질적자료 중 ‘지역사회 경험’ 부분을 발췌하여 집중분석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질적종단자료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하여, ① 꿈드림 접근성 향상, ② 꿈드림 프로그램 및 지원 강화, ③ 학교 밖 청소년 인식개선의 3가지 정책적 방향성이 제안되었다. 각 방향성은 세부 정책과제들로 구성되었는데, 첫째, ‘꿈드림 접근성 향상’은, ‘정보 접근성 향상’, ‘물리적 접근성 향상’, ‘심리적 접근성 향상’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꿈드림 프로그램 및 지원 강화’는 ‘다양한 자립 관련 프로그램 제공’, ‘터닝포인트 기회 제공’, ‘꿈드림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 인식개선’은 ‘학교 밖 청소년 명칭 재검토’,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홍보’, ‘공정한 기회 제공’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Ⅰ. 서 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2.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 내용5 Ⅱ. 학교 밖 생활 및 이후 청년기까지의 경험에 대한질적 종단연구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 2. 분석방법15 3. 분석결과28 4.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55 Ⅲ. 학교 밖 청소년의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과 심리·정서적 상태6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69 2. 분석방법73 3. 분석결과76 4.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104 Ⅳ. 학교 밖 청소년(현 20대 중반 청년)의 자립 경험에대한 질적 종단연구10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11 2. 분석방법112 3. 분석결과116 4.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182 Ⅴ. 요약 및 시사점185 1. 연구 요약187 2. 통합적 정책 제언193 참고문헌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