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학교에 가고 싶다: COVID-19 사태에 따른 대학생태계 활력 유지를 위한 학교 공간 활용 제안서
- 발행사항
- [고양]: ESA Design, 2021
- 형태사항
- 105 p. : 삽도, 18 x 25 c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3086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3086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공간을 통해서 우리는 사람과 만나고 관계를 맺습니다. 유대감을 느끼고 공동체 의식도 함께 성장합니다. 공간은 사람을 만나는 장소이며 기회를 제공하는 기반이 되어 왔습니다. COVID-19(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유행 이후, 많은 사람들은 학교에서 하던 일을 집이나 카페에서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말 우리가 겪은 변화는 그것 뿐일까요?
학생들은 학교와 학교 주변의 장소에서 사람들을 만나며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때론 친구를 만나서 식사를 하고, 과제를 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나눕니다. 우연히 새로운 사람들과 우연히 만나 이야기 하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들기도 합니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간과한 건 학교의 공간이 가졌던 역할이 아닐까요?
COVID-19(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라는 특별한 상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단순히 팬데믹에 대한 대응방법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오히려 팬데믹 이후에도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에 대한 생각을 한번 더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전공의 세분화보다 결합, 융합이 강조되고 있는 미래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과연 지금의 공간이 코로나19 이후에도 의미 있는 장소로 기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이제 일상 속에서 어떤 장소가 우리의 삶에 있어서 깊은 의미를 가지는 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학생들은 학교와 학교 주변의 장소에서 사람들을 만나며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때론 친구를 만나서 식사를 하고, 과제를 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나눕니다. 우연히 새로운 사람들과 우연히 만나 이야기 하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들기도 합니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간과한 건 학교의 공간이 가졌던 역할이 아닐까요?
COVID-19(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라는 특별한 상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단순히 팬데믹에 대한 대응방법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오히려 팬데믹 이후에도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에 대한 생각을 한번 더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전공의 세분화보다 결합, 융합이 강조되고 있는 미래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과연 지금의 공간이 코로나19 이후에도 의미 있는 장소로 기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이제 일상 속에서 어떤 장소가 우리의 삶에 있어서 깊은 의미를 가지는 지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머리말 4
PART 1. 코로나 19의 유행
1. 코로나 19, 달라진 사람들 6
01. 2021년, 코로나19 이후 6
PART 2. 대학생태계 구성원
1. 대학과 대학가를 이루는 사람들 10
PART 3. 대학생태계 분석
1. 대학과 대학생태계 28
2. 시간대별 30
3. 사회관계망 34
4. 사교적 측면 36
5. 문화적 측면 41
6. 경제적 측면 44
7. 학사적 측면 47
8. SWOT 분석 50
PART 4. 학교의 공간
1. 관계밀도 53
01. 완전히 대체되지 못한 교내의 장소들 53
02. 장소별 관계밀도 구하기 55
03. 장소별 관계밀도 값 상세 57
2. Prototype 58
PART 5. 제안
1. 장소별 관계밀도의 변화 제안 69
2. 공간의 변화 제안 71
01. 격자형 동선의 제안 71
02. 빠른 환기를 위한 공간의 최대 너비 제안 73
3. 교내 8가지 장소에 대한 적용 78
PART 6. 결론
1. 공간 사용 전략 process 103
2. 전체 관계밀도의 분포 변화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