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정책연구시리즈 2022-06

코로나19 전후 고용구조 및 소득격차 변화: 노동패널 분기자료를 활용한 분석

발행사항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2022
형태사항
67 p: 삽도, 24cm
총서명
정책연구시리즈; 2022-06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비통제주제어
고용 위축, 고용 충격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199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3199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코로나19는 2020년 1월 한국에 처음 상륙해 무려 3년 가까이 우리의 일상을 뒤흔들었다. 코로나19는 노동시장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는데, 2020년 3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20~4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절정에 이른 2021년 1월에는 약 100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그해 3월부터 고용이 빠르게 회복되어 2022년 9월 현재 외견상 코로나 이전 상태를 완전히 회복한 듯 보인다.

이 같은 상황에서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제기하였다. 첫째, 코로나 위기를 전후로 우리 노동시장의 고용구조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 둘째, 고용의 양적 회복이 확인되는 가운데 임금(소득)과 같은 질적 측면에서도 예전 수준으로 충분히 회복되었는가? 이 두 질문은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이 특정 유형의 근로자에게 불균등하게 피해를 초래했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다. 마지막 질문은 코로나19의 고용 충격 이외에 또 다른 노동시장 변화요인이 작용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최근의 고용 증가 양상이 지금까지의 경험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는 원인을 찾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들을 분석하기 위해 노동패널(KLIPS) 18차(2015년)부터 24차(2021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는데, 연간 단위로 조사되는 자료를 분기별 데이터로 재구성하여 코로나19를 전후한 분기별 고용 동학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KLIPS 직업력 자료에서 확보된 개인별 직업이력으로부터 각 분기별 고용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분기별 노동이동과 그에 수반된 소득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기별 자료를 활용하는 경우 연간자료를 분석할 때보다는 더 많은 단기 일자리 변동이 분석에 포함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선행연구
 제1절 코로나19의 고용 충격
 제2절 소득격차에 미친 영향

제3장 분석자료
 제1절 분기자료의 구축
 제2절 분기자료의 기초통계와 특성

제4장 코로나19 전후 고용상태 이동의 특징
 제1절 코로나19 영향의 퇴직
 제2절 고용상태 이동률 추이
 제3절 상태이동 유형별 근로자의 연령 구성

제5장 근로소득의 변화와 격차 추이
 제1절 코로나19 전후의 근로소득 변화 추이
 제2절 코로나19 영향 퇴직자의 특성과 임금격차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분석 결과의 요약
 제2절 2019년의 고용 위축에 대한 재론
 제3절 남은 과제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