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NYPI 발간물검색

NYPI 발간물검색

연구보고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Ⅲ: IEA ICCS 2016 - 총괄보고서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형태사항
413 p: 삽도, 27 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6638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663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66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66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21세기 이후의 세계를 특징지을 수 있는 단어는 불확실성이다.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지식과 정보는 급속하게 증가함으로써 인간이 처리해야 할 정보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급격한 발전에 따른 사회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청소년들이 성공적으로 기능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산업사회와는 차별화된 개인의 역량이 요구된다. 갈수록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지식이나 기술보다는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능력을 키워야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OECD, UNESCO 등의 국제기관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시행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청소년의 핵심역량 증진에 관심을 갖고 교육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그 일환으로 5개년 계획인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EA ICCS 2016’ 연구 계획을 수립하였다.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IEA ICCS 2016’ 1차년인 2014년도 과제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청소년 역량지수개발 연구’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을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도구와 IEA의 ICCS (Inter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이하 ICCS) 2016와 같이 국제수준에서 청소년의 역량을 비교분석 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EA ICCS 2016’ 정책연구의 3차 년도 연구이자 2015년도 2차 년도 연구의 후속연구이다. 올해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를 통해 측정된 우리나라 청소년의 역량의 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민주적 역량의 국제비교를 위한 IEA 국제 청소년시민성 및 시민의식 비교조사(ICCS 2016)의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2016 청소년 역량지수의 실태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의 초·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초·중·고등학생 10,319명 대학생 1,000명 등 총 11,319명이 참여하였다.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을 위한 도구는 청소년 역량지수를 구성하는 5개 역량 역량군(생애학습역량 24문항, 생활관리역량 35문항, 진로개발역량 25문항, 대인관계역량 29문항, 사회참여역량 47문항)을 중심으로 16개의 하위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160문항으로 단축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첫째,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을 단순화하여 그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기존 242문항에서 160문항으로 82문항을 축소하였고, 단축문항으로 측정된 자료의 신뢰성과 정규성이 재확인되어 타당함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2015년도 문항으로 측정한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지수 측정결과 값과 2016년도 단축문항으로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지수를 측정한 결과 값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단축형 측정문항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2016년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의 전체 평균은 2.92(SD=.31)이며, 이를 4점 만점 기준으로 100%로 환산해 보면, 77%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역량군별로 살펴보면, 생애학습역량 평균은 2.89(SD=.37), 72.25%, 생활관리역량 평균은 3.08(SD=.38), 77.00%, 진로개발역량 평균은 2.92(SD=.40), 73%, 대인관계역량 평균은 3.00(SD=.45), 75.00% 그리고 사회참여역량 평균은 2.70(SD=.35), 67.50%로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은 생활관리역량 지수가 가장 높고, 대인관계역량, 진로개발역량, 생애학습역량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역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6년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지수를 청소년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초등(초기 청소년) 평균은 2.96(SD=.36), 74%, 중등(중기 청소년) 평균은 2.91(SD=.28), 72.75% 고등(중기 청소년) 평균은 2.90(SD=.28), 72.50%, 대학(후기 청소년) 평균은 2.88(SD=.24), 72%로 나타났다. 청소년 시기별로 청소년 역량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청소년 역량은 청소년 시기별로 비슷한 수준으로 항상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2016년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지수를 청소년 시기에 따른 성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 역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지수는 성별에 따라 초등(초기 청소년)에서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중등과 고등(중기 청소년)을 지나고 대학(후기 청소년)으로 갈수록 여자 청소년의 역량이 남자 청소년보다 유의미하면서도 현격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2016년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지수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지수는 부산지역 청소년이 2.9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구, 대전, 인천, 그리고 울산이 2.95, 서울과 전남이 2.94 순으로 나타났고, 전북이 2.87, 세종, 경북과 경남이 2.86으로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의 준거타당도와 예측타당도를 살펴보면, 청소년 역량지수의 각 역량군에 따른 변인들은 해당 역량과 관련된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분석에 있어 정적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통한 인과관계에 있어서는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이 각 역량이 지향하는 개념적 특성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역량군에 따른 수행변인과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에 있어서도 정적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가 해당 변인들의 수행변인을 충분히 예측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에서 측정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가 높다는 것이 관련 역량에서 나타나는 행동지표의 양적 횟수가 높고 질적 수준도 높을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전 세계 25개국이 참여하는 2016년도 국제시민의식 및 시민성 비교연구(ICCS 2016) 본조사는 총 106개 중학교 2학년 학생 3,004명과 담당교사 1368명, 교장 106명을 대상으로 IEA의 조사절차를 준수하여 실시하였으며 IEA 본부로 조사결과의 입력과 제출이 완료되어 2017년에 분석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제5차 청소년기본계획을 중심으로 국내 청소년 역량정책과 OECD가입국 중심으로 해외 청소년역량 관련 정책을 수집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였으며, 청소년 대상 FGI를 통해 새로운 청소년역량 정책과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청소년정책 실무자 대상 정책협의회를 거쳐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역량을 증진 및 강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법적 제도 개선방안, 청소년 역량 교육 프로그램 개발방향, 청소년 역량 전문가 전문성 강화 방향, 청소년 역량 시설 확충 및 예산 확보방안 등의 정책을 제안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강조하여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민주시민역량조사(ICCS)와 청소년역량연구 6 3. 2016년 3차년도 연구 주요 내용 8 4. 연구 추진체계 12 Ⅱ. 이론적 배경 15 1. 청소년의 역량 개념 및 구성체계 17 2. 2015 우리나라 청소년 역량의 현황 및 실태 19 3. 청소년 역량지수관련 청소년 발달적 특성변인에 대한 선행문헌분석 20 Ⅲ. 연구방법 21 1. 201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조사 개요 23 2. 201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조사 28 3. ICCS 2016 본조사 51 Ⅳ. 조사 결과 59 1.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단축 문항 분석 및 정규성 분석 61 2. 청소년 역량지수 단축문항 구성체계의 타당화 분석 68 3. 201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의 청소년발달시기 및 지역별 수준 분석 88 4. 201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결과의 청소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95 5.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문항의 준거 및 예측타당도 분석 147 Ⅴ. 청소년 역량관련 정책현황 213 1. 청소년 역량관련 국내 정책현황 215 2. 청소년 역량관련 주요 외국 정책사례 263 Ⅵ. 요약, 논의 및 정책제언 273 1. 연구요약 275 2. 정책적 제언 284 참고문헌 305 부 록 317 [부록 1] 2016 청소년 역량 관련 선행문헌 분석 319 [부록 2] 초·중·고등학생 모집단 분석 및 표본설계 343 [부록 3] 2016 대학생 모집단 분석에 따른 표본샘플 357 [부록 4] 201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설문문항-초등학생용 360 [부록 5] 201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설문문항-중고등학생용 378 [부록 6] 201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설문문항-대학생용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