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0-33-01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Ⅲ: 총괄보고서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형태사항
238p. : 삽도, 26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참고자료(설문지)를 포함하고 있음
원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1861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186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186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186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 초 록 * 2차 년도에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던 청소년기 핵심역량 진단조사결과를 심층 분석하였으며 국제비교가 가능한 PISA, ICCS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 핵심역량지수 개발 등 국제비교 분석을 수행함 * 청소년 핵심역량 중 하나로 고려한 사고력 영역에 대해서 청소년기 핵심역량진단 조사를 실시함. 조사대상 집단은 학습단계를 대표하는 집단으로서 중학생, 고등학생(전문계 포함)이며 2차 년도에 예비조사 문항이 개발되었던 비판적 사고력 영역 중심으로 지역별로 비례층화집락추출법을 통해 표본을 선정함 * 한국청소년의 생애핵심역량 국제비교를 위해 IEA에서 주관하는 ICCS 2009에 참여하였으며 2009년도 조사에 참여한 연구기관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에 참석하여 조사 자료의 분석 및 결과논의 작업을 진행함. 10월 26일에 ICCS 조사결과의 공개를 포함한 국제회의를 개최하고 조사결과의 의미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서 국내·외의 학��정책·현장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의를 진행함 *핵심역량 교육 및 활동프로그램의 개발과 시범운영을 실시함. 시범운영은 크게 2개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학교기반 프로그램에서는 핵심역량중심 교과수업(지리과목)과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을 시범운영하고, 수련시설 기반 프로그램에서는 핵심역량개발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 적용가능성을 검토함
목차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1) 청소년기 핵심역량 진단조사결과 심층 분석 및 국제비교 분석 2) 비판적 사고력 진단조사 및 분석 3) 핵심역량 국제비교연구 참여 4) 생애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검증 3. 연구방법 1) 연구추진체계 2) 청소년기 핵심역량 진단조사 결과 및 국제비교조사 심층 분석 3) 청소년기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검증 II. 이론적 배경 1. 핵심역량의 개념 2. 핵심역량관련 국제조사 현황 3. 핵심역량의 영역체계와 측정 4. 핵심역량기반 교육개혁 현황 III. 청소년기 핵심역량 진단조사: 사고력 영역 1. 청소년기 핵심역량 진단조사 1) 조사 개요 2. 비판적 사고력 진단조사 도구 개발 1) 핵심역량으로서의 사고력 2) 사고력 측정 문항 개발 3. NYPI 비판적 사고력 진단 조사 설계 1) 모집단 및 표집틀 2) 표본크기와 표본추출방법 3) 모수추정 4) 실사설계 및 실사결과 4. NYPI 비판적 사고력 조사결과 1) 비판적 사고성향 검사 결과 분석 2) 비판적 사고기술 검사 결과 분석 Ⅳ. 청소년기 핵심역량 국제비교 1. 국제비교 개요 2. 핵심역량지수 개발과 국제비교: PISA, ICCS 메타분석 1) 핵심역량(Key Competencies) 지표의 구성 2) 지표별 비교 결과 3) 논의 및 결론 3. 한국 청소년의 시민역량 국제 비교 : ICCS 2009 1) 서론 2) ICCS 2009 조사 개요 3) ICCS 2009 조사 결과 4. 한국 청소년의 문제 해결력 국제비교 : PISA 2003 1) 서론 2) 문제 해결력 점수의 분포 3) 성 (Gender)과 문제 해결력 4) 사회경제적 배경과 문제 해결력 5) 분위 회귀 (Quantile Regression) 분석 6) 결론 Ⅴ. 핵심역량 프로그램 시범사업 운영 1. 시범사업 개요 1) 학교 기반 프로그램 시범사업 연구 2) 수련시설 기반 프로그램 시범사업 연구 2. 주요내용 1) 학교 기반 프로그램 연구 2) 학교 기반 프로그램 시범 운영 개요 3) 수련시설 기반 프로그램 연구 3. 시범운영 프로그램 효과 분석 1) 효과 검증 설계 2) 효과 검증 조사 대상자 구성 3) 효과검증 결과 분석 Ⅵ.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 고 문 헌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