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7413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0002741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한국어 의사소통 문제가 이처럼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문제를 실증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책에 제시한 주요 연구 결과는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실태를 전국 규모로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특히 성인인 결혼이주민 및 이주민근로자를 청소년인 이주민자녀와 비교하여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정도를 밝히고 영향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것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목차
I. 서 언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1) 양적연구방법
(2) 질적연구방법
3. 선행 연구 검토
1) 이주민근로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및 그 교육에 관한 연구
2) 결혼이주민 및 이주민자녀의 한국어 의사소통 및 그 교육에 관한 연구
3) 이주민 대상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II. 이론적 배경
1. 다문화 시대의 한국 사회에 대한 언어 정책적 접근
1) 언어 정책의 개념과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 문제
(1) 언어 정책의 개념
(2) 다문화 사회에서의 언어 문제
2) 다문화 시대의 국어 및 한국어 정책의 관점
2.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의사소통
1) 사회 통합 기제로서의 한국어 의사소통
2) 한국어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고려 요인
(1) 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2) 학습자의 요구
III.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실태 조사
1. 이주민 표본 기초 인구학적 정보
1) 성별
2) 모어
3) 최종학력/학교급
4) 연령/학년
5) 거주지역
6) 한국에 거주한 기간
7) 교육기관을 통해 한국어를 배운 기간
8) 본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한국어 능력
2. 핵심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한국어 사용 실태
1) 한국어 대화 시간 및 어려움 인식
2) 한국어 읽기·쓰기 시간 및 어려움 인식
3) 의사소통 유형별 사용 빈도 및 어려움 인식
(1) 이주민근로자의 직장 의사소통
(2) 결혼이주민의 가정 의사소통
(3) 이주민자녀의 학교 의사소통
3. 일반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한국어 사용 실태
1) 한국어 대화 시간 및 어려움
2) 한국어 대중매체 이용 시간 및 어려움
3) 의사소통 유형별 사용 빈도 및 어려움 인식
4.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IV.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문제 및 교육 방향
1. 집단 간 차이
1) 이주민집단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2) 성별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3) 모어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4)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
(1)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2.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의 요인, 경로 모형 및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필요한 학습 기간
1)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경로 모형
2)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필요한 학습 기간
3.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 유형별 수요
4.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 및 그 해소 방안에 관한 논의
1) 이주민집단 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및 어려움 차이
2)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필요한 학습 기간
3) 이주민들의 듣기·말하기 교육에 대한 절대적 수요
V.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정책적 제언
1. 다문화 시대 언어 정책 목표의 구체화 및 세분화
1) 국내 다문화 언어 정책의 흐름
2) 정책 목표의 세분화를 통한 다문화 언어 정책의 발전 지향
(1) 이주민근로자
(2) 결혼이주민
(3) 이주민자녀
2. 정책 목표 해결을 위한 구체적 대안 탐색
1)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접근성 제고
(1) 이주민근로자
(2) 결혼이주민
2)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1) 자율적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보장
(2) 성인 이주민 대상 교육과정 및 다양한 교재 개발
3. 이주민 대상 언어 정책 집행 및 정책 평가의 효율성 제고
1) 다문화 시대 한국어 정책 전담 기구의 신설
2) 한국어 교육 요구 조사의 정례화
VI. 결 언
참고문헌
부 록
1. 설문지(이주민근로자용)
2. 설문지(여성 결혼이주민용)
3. 설문지(이주민자녀용)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