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단행본연구총서 18-AA-07

인체유래물에 대한 관리와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발행사항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8
형태사항
190 p.: 삽도, 26cm
총서명
연구총서; 18-AA-07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867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86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과거에는 인체에서 분리되어 활용되는 구성부분이 가발용 머리카락이나 혈액, 해부용 시체 등이 전부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생명공학기술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체의 장기, 조직, 세포 등에 관한 기술적 효율성이 증대되었고, 이식이나 치료에 쓰이는 인체구성부분들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체장기와 조직의 활용은 보편적인 시술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인체의 각종 세포를 이용한 치료방법이 개발됨에 따라 난치병이나 희귀질환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인체구성부분을 인체유래물이라고 하는데, 그동안 이러한 인체유래물은 장기이식법, 인체조직법, 제대혈법, 혈액관리법, 시체해부법 등을 통하여 관리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비교적 최근인 2012년, 생명윤리법의 전면개정을 통하여 인체유래물을 규율하는 기본 법률이 처음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이 때, 인체유래물 뿐만 아니라, 인체유래물은행을 규율하는 규정도 제정되었습니다. 인체유래물은행이란 인체유래물 또는 유전정보와 그와 관련된 역학정보, 임상정보 등을 수집, 보존하여 이를 직접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는 기관을 말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보건복지부 주도하에 조직, 세포, 혈액 등으로부터 한국인 특유의 인체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한 「한국 인체자원 종합관리사업(Korea Biobank Project)」을2008년부터 추진하여 현재 제3기(2016-2020년)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 사업의 목적은 ‘한국 인체자원 중앙은행’을 설치하고, 한국인의 질병과 유전자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진일보되고 효율적인 질병치료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습니다. 이미 선진제도권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인체유래물 관리 및 활용체계 구축을 통한 안전성 확보 및 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형사정책적 견지에서 인체유래물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일례로, 최근 문제가 된 차병원의 제대혈 시술 및 줄기세포치료는 인체유래물에 대한 형사규제의 공백을 보여주는 단면적인 사건에 속합니다. 이외에도 일반 지역병원에서 안전성에 대한 검증 없이 시술되고 있는 줄기세포치료나 해외로의 치료관광 등도 이에 대한 단속과 규제의 부재를 보여주는 현실입니다. 다른 한편에서는 일부 제약회사나 병원을 통하여 상업적 목적을 위해 인체유래물을 남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도덕적·윤리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인체유래물의 법적 성격과 지위를 논하고, 이를 이용하고 관리하는 현재의 형사사법체계를 검토하여 일관적이고 합리적인 형사제재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인체유래물의 개념과 범주를 확정하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와 성격을 논의하여 인체유래물에 대한 관리와 형사규제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보호에 있어 일관적인 형사사법 체계를 구축하고, 인체유래물은행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는 인체유래물 보관 및 관리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하게 규제하기 위한 형사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합니다. 이 연구가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이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응방안과 관련하여 향후의 연구와 정책마련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수 있길 바랍니다.
목차
국문요약 1 제1장 서 론 ∙ 최민영 3 제1절 연구의 목적 5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제2장 인체유래물의 개념과 분류 ∙ 류영준 7 제1절 인체유래물의 개념 9 1. 일반적 개념 9 2. 법률상 개념 13 3. 본 연구에서 인체유래물의 의미 17 제2절 인체유래물의 분류와 관련 법률 19 1. 시점에 따른 분류와 관련 법률 19 2. 생사에 따른 분류와 관련법률 22 3. 발생목적에 따른 분류와 관련 법률 26 제3장 인체유래물의 법적 성격과 지위 ∙ 최민영 29 제1절 인체유래물의 도덕적 성격과 지위 31 1. 인체유래물: 권리주체와 권리객체의 경계 31 2. 인체유래물과 관련한 주요 쟁점 32 제2절 인체유래물의 법적 성격과 지위 33 1. 인체유래물의 법적 성격과 지위 33 2. 인체유래물의 형법상 성격과 지위 36 제3절 소결 42 제4장 인체유래물의 이용 및 관리와 형사법적 규제∙ 류영준・최민영 45 제1절 인체유래물의 이용 및 관리 47 1. 인체유래물의 이용 및 관리 현황 47 2. 인체유래물은행 관리현황과 관련제도 56 제2절 인체유래물과 형사법적 규제 64 1. 인체유래물 이용과 법적 규제 64 2. 인체유래물과 형사법적 규율 70 3. 인체유래물은행과 형사법적 규율 76 4. 형사규제의 방향 79 5. 소결 82 제5장 비교법적 검토 ∙ 이선구・최민영・손여옥 85 제1절 영국 87 1. 인체유래물의 활용 현황 87 2. 비영리목적의 인체유래물 수집 및 활용에 관한 형사법적 규제 89 제2절 미국 95 1. 인체유래물에 대한 소유권 쟁점 95 2. 인체유래물의 활용 현황 98 3. 비영리목적의 인체유래물 수집 및 활용에 관한 형사법적 규제 101 제3절 독일 109 1. 인체유래물의 (형)법적 성격 109 2. 인체유래물 규제 관련 법률과 판례 112 3. 인체유래물 은행의 활용과 관련된 쟁점들 124 제4절 일본 133 1. 인체유래물의 정의와 분류 133 2. 인체유래물의 법적 성질 135 3. 인체유래물에 관한 법적 규제 138 4. 일본의 인체유래물은행 제도 160 제5절 소결: 시사점 162 1. 영국 162 2. 미국 163 3. 독일 164 4. 일본 165 제6장 인체유래물의 합리적 규제를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 ∙ 최민영 169 제1절 형법상 규제방안 171 1. 실체법적 규제의 필요성 여부 171 2. 절차법적 규제의 방향 172 제2절 관련 특별법의 규제방안 173 1. 인체유래물 규제와 개선방안 173 2. 인체유래물은행 규제와 개선방안 176 제3절 관련 제도의 개선방안 177 1. 연성규범(soft law)의 활성화 177 2. 사전동의의 확립 179 참고문헌 181 Abstract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