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단행본배우는 사람, 교사

가르칠 수 없는 것을 가르치기: 제천간디학교 교장 이병곤의 교육에세이

발행사항
서해문집, 2022
형태사항
208 p, 19cm
비통제주제어
교육학, 교육에세이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116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3116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먼저 온 미래’, 대안학교는 어떻게
공교육의 젖줄이 되었나

제천간디학교 교장 이병곤의 교육에세이. 30여 년간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교육혁신 정책을 연구․실천해온 교육전문가로서, 현장과 이론을 넘나드는 경험과 깊은 성찰을 담은 그의 첫 에세이다. 학교 민주주의 실행, 대학입시와 시험에서 벗어난 ‘자유’롭고 창발적인 배움, 프로젝트 학습과 여행․노동․예술을 통한 학습, 통합 학년 실험과 생태주의 실현 등 대안학교 현장의 다양한 교육실험들이 생생하게 펼쳐지는 가운데, ‘지금 여기’ 교사와 학생과 부모 모두에게 꼭 필요한 ‘생각’들을 단단하게 담아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들은 교육의 본질에 대한 깊고 근본적인(radical) 성찰과 담대한 상상으로 우리를 이끈다.

“보편 공교육이 ‘대안’교육에 진 빚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이런 놀라운 교육이 세상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현실에서 보여준다는 것이다”

충북 제천시 월악산 자락, 100여 명의 학생과 스무 명 남짓한 교사들이 살아가는 6년제(중고교 통합) 기숙형 비인가 대안학교. 저자가 지난 6년간 이곳 제천간디학교 교장으로 있으면서 무엇보다 주목한 것은 보편 공교육과 대안교육의 ‘만남’이었다. 그의 학교에는 한 해 내내 많은 ‘손님’들이 찾아온다. 공교육은 혁신학교를 기획하고 실행할 때, 미래학교 관련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 교사들의 창의력을 자극하려 할 때, 교육과정을 새로 개편하려 할 때마다 대안학교를 탐방하고 그 사례들을 참조해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지난 수년간 학교로 찾아오는 교육 연구기관이나 교육청 손님들을 맞이하느라 늘 분주했다.

실제로 오늘날 보편 공교육이 채택하고 있는 여러 특징은 과거 서구 사회의 대안학교에서 ‘선도적 실험’을 거쳐 받아들인 제도와 다름없다. 남녀공학, 15명 이내 학급 편성, 체벌 금지, 프로젝트 중심 학습, 아동의 흥미와 선택 존중 등이 대표적 사례다. 이처럼 대안학교는 인간의 본성, 학습 방식, 평등주의, 민주주의와 자치 능력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해왔고, 그 교육적 실현 가능성을 입증해왔다. 교과목 대신 학습 방법을, 경쟁 대신 협력을, 강제 대신 자발성을 강조하면서 어떻게 그것을 실현할 것인가 고민해온 공간이 바로 대안학교였다. 시험에 나오지는 않지만 인간이 가져야 할 중요한 특성과 자질을 발현하도록 교육과정과 학교 문화를 조직․운영하려고 애써온 곳도 대안학교 현장이었다.

그러나 대안학교는 단지 위기에 처한 공교육 출신 학생을 ‘위탁’하는 곳도 아니고, 필요할 때마다 ‘혁신 사례’를 수집해 공교육에서 참조만 하는 대상도 아니다. 공교육과 대안교육은 서로에게 듬직한 협력자가 되어주어야 한다. 학교와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열어두고, 국가는 교육혁신과 실험을 자발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대안학교의 가치를 인정하고 지원해야 한다.

능력주의 시대에 교사라는 존재

현재 한국의 대안교육은 위기를 맞고 있다. 이제껏 우리 사회는 대안교육이 무엇이고, 어떻게 펼쳐나가야 하며, 실제로 그 결과는 어떠했는지를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다. 그럼에도 대안교육 현장에서는 당장 아이들과 씨름하며 실천을 해야 하기에, 모든 일을 몸으로 겪고 견디면서 방법을 찾아나서야 했다. 그 구체적이면서도 생생한 사례가 이 책 곳곳에 드러난다.

이 책에 담긴 각각의 이야기는 조각난 사금파리같이 독자적으로 빛나면서도, 그 경험의 파편들이 합체해 마치 스테인드글라스처럼 영롱한 빛을 낸다. 한 시골 학교 교장의 몸을 투과한 그 빛은 여러 갈래로 다시 파열하며 세상에 말을 건넨다. 대안학교에서 행하는 교육실험은 여전히 우리나라 교육을 바꿔갈 동력이며, 그곳에서 쌓은 귀중한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분석하고, 창조적으로 변용할 때라야 대한민국 교육혁명의 씨앗이 싹튼다. 여기 담은 글들이 오늘도 어려운 걸음을 이어가고 있는 현장의 교육실천가들에게 소박한 징검다리라도 되길 소망한다.

“이게 아니라고, 멈추라고, 아이들에게 자유를 주라고 말하기는 쉽다. 멈췄다 치자. 한 번도 자신이 그 자유를 경험해보지 못한 부모와 교사는 멈춘 자리에서 무얼 할지 막막하다. 이 책은 새로운 길을 떠나려는 사람, 혹은 그 여정을 시작한 사람에게 건네는 든든한 선배의 다정한 조언이다. 보편 공교육이 ‘대안’교육에 진 빚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이런 놀라운 교육이 세상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현실에서 보여준다는 것이다. 나는 다시 청소년이 되어 이런 학교에서 이런 선생님을 만나고 싶다.”
_ 이향규 (《후아유》 저자, 런던 한겨레학교 교장)
목차
머리말 투명한 유토피아 속에서 모래성 쌓기 _ 접촉에 대하여 어느 시골 학교 교장의 ‘시간’ 교육론 _ 시간, 자유, 관계, 인성 모든 아이들을 위한 학교, 가능하다 _ 잠시 멈춘 세상에서 맞이한 ‘철학의 순간’ 상상하고 실천하자, 인간 본성 그 너머를 _ ‘고결한 야만인’이라는 존재 깨지 못한 신화, 시험을 다시 들여다본다 _ ‘터널 시야’에서 벗어나기 당당한 무학력자들을 능력주의 사회로 보내며 _ ‘고등정신기능의 기원’을 생각한다 내 정서의 살점을 꼬집는 코르차크의 ‘아이들’ _ “살아 있다는 게 너무 행복해”라는 말 세계 대안교육의 산 역사, 서머힐 100주년 _ 무엇을 가장 적극적으로 ‘안’ 할 것인가 자기 인생을 직접 운전하며 배워라 _ 운영지능과 인성 교육(?) 다시 맞는 4·16, 교육의 책임을 되묻다 _ 구조적 부정의에 맞서는 ‘사회적 연결 모델’ 걷기, 가장 자연 상태에 가까운 인간의 행위 _ 걸으니 비로소 보이는 것들 찬솔이가 들고 온 ‘죄와 벌’ _ 기다림에 대하여 듀이의 ‘행함’, 우리의 ‘움직임’ _ 프로젝트 학습의 진짜 모습 ‘대안’학교 제 이름 되찾기 _ 먼저 온 미래, 보편 공교육이 ‘대안’에게 진 빚 ‘예술을 품은 교육’으로 판을 바꾸자 _ 통합 수업의 핵심은 ‘연결’이다 ‘좋은 삶’으로 이끄는 노동은 불가능할까? _ 2020년대 MZ세대의 ‘농활’ 세계 안에서의 ‘견딤’이 민주 시민을 만든다 _ 개인의 욕망과 사회의 성숙함 사이 “안 하는 편을 선택하겠습니다” _ ‘역량’이라는 용어에 휘둘리지 않기 대안교육 실천가 페스탈로치를 회상하며 _ 가르치기 힘든 것을 가르치기, 그 담대함에 대하여 “마을의 운명도 사람의 성격이 된다” _ 망, 공간 그리고 새로운 교육 ‘접촉의 기억’으로 내 곁에 살아 계신 스승들 _ 교육은 만남에 ‘이름표 붙이는’ 행동 볍씨학교야, 새로 움을 틔우렴 _ ‘학교를 학교라 부르지 못하는’ 초현실주의 너머에서 미술관에서 떠올린 ‘교敎’통사고 _ “아름다워. 그니까, 네가 와서 봐!” 존경스럽고 매력적인 인물, 철수세미 _ 전 존재를 거는, 교사의 자세에 대하여 식당털이 사건으로 바라본 집단의 특성 _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학부모라는 이름의 ‘불안’ _ 아찔한 현기증 속에서 양육의 자유를 누리자 교사의 소진과 ‘애정 철회’ 현상 _ 그 순간 가르침은 멈추고, 학교는 위기를 맞는다 삶을 위해 복무하는 배움의 즐거움 _ ‘기초교육’이라는 맛없는 차림표는 이제 그만 정서교육을 위해 ‘마음 열 결심’ _ ‘상처 입기 쉬움’과 공적인 삶은 어떻게 연결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