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NYPI 발간물

  1. 메인
  2. NYPI 발간물
  3.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청소년 국제교류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형태사항
402p. :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부록을 포함하고 있음
원문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824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2825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282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282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 초 록 본 연구는 청소년 국제교류정책의 현황과 성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미래지향적 청소년 국제교류의 발전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청소년 국제교류정책 현황을 살펴보면 청소년 국제교류정책은 지난 20년 동안 청소년 교류담당 주무부서의 잦은 통폐합 등으로 추진체계가 안정화되지 못했다. 청소년교류 전담기관으로 청소년교류센터를 설치하였으나 작은 인원과 빈약한 예산 때문에 청소년교류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콘트롤 타워로서 기능할 수 없었다. 2010년 국제교류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청소년들은 국제교류활동의 참여효과를 ‘문화에 대한 폭 넓은 시각’으로 인식하는 유형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 ‘소통과 네트워크의 기회’,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기회’라고 인식하고 있는 유형이 많았다. 참여자들의 국제교류이해증진도와 글로벌역량에 대한 측정결과를 분석했을 때 프로그램 종류와 참여 동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청소년 국제교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류성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데, 정부가 청소년 국제교류사업을 사업수행능력이 있는 소수단체에 분산, 위탁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 교류활동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며 그 성과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청소년 국제교류사업 현황을 살펴보면 참가자 선발경쟁이 저조한 사업이 있었으며 참가자가 대학생이나 고등학생에 편중된 현상을 보였다. 또한 특·광역시 거주 청소년의 참여 비중이 기타 지역보다 높았다. 사회적 배려대상자의 참여 기회도 아직 부족한 상태에 있다. 유럽연합이나 독일, 영국 등에서는 청소년 국제교류활동의 목적을 사회통합에 두고 이민자, 다문화자녀 등 취약집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도 연령별, 사회계층별 취약집단을 위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청소년 교류 전담부서의 설치, 교류정책의 비전과 기본계획수립, 청소년 교류전담부서의 설치, 교류사업에 대한 평가시스템과 홍보방안, 국제교류 전문지도자 양성, 국제교류 사업개편 및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등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절차 4. 연구방법 Ⅱ. 청소년 국제교류정책 현황 1. 청소년 국제교류정책의 개념 및 목표 2. 청소년 국제교류정책 현황 Ⅲ. 청소년 국제교류사업 현황 분석 및 평가 1. 사업사례 선정 및 조사개요 2. 사업현황 분석 3. 국제교류사업 평가 Ⅳ. 청소년의 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 1. 참여자의 국제교류이해와 글로벌 역량 증진도 분석: 기존 조사자료의 재분석 2. 국제교류활동 참여효과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 유형 Ⅴ. 청소년 국제교류정책에 대한 델파이 조사결과 1. 조사개요 2. 청소년 국제교류의 개념 및 목표 3. 청소년 국제교류정책의 중점 대상 4. 청소년 국제교류사업의 개편 및 연령집단별 프로그램 개발 5. 청소년 국제교류 지도자의 양성 6. 청소년 국제교류 성과관리 및 홍보 7. 청소년 국제교류 추진체계 평가 및 발전방안 8. 청소년 국제교류 정책 과제 9. 소결 Ⅵ. 청소년 국제교류 정책 동향 1. 유럽연합의 청소년 국제교류 2. 영국의 청소년 국제교류 3. 독일의 청소년 국제교류 4. 미국의 청소년 국제교류 5. 일본의 청소년 국제교류 6. 해외사례 비교 및 시사점 Ⅶ. 결론 1. 정책현황 및 문제점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사업현황조사지 2. 인식유형 조사지 3. 델파이조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