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1. 메인
  2. 도서관 서비스
  3. 신착도서

신착도서

단행본

마약류사범 재활센터 치료·재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발행사항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형태사항
p302 : 삽도, 26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400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400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국문요약

제1장 서론
-2012년 3월 현재 교정시설에 수용된 마약류사범은 2,374명으로 전체 수용자의 약 5.6%이며, 마약류사범 중에서 투약사범은 무려 64%를 차지한다. 법무부는 2011년 3월 마약류사범 재활교육프로그램을 표준화하였고, 8개 마약류사범 전담 재활교육기관을 지정, 운영한 바 있으나, 여전히 마약류사범은 출소 후 3년내 재복역율이 가장 높고, 재활교육과 치료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전문시설과 외부 및 내부 인적자원이 부족하며, 출소 후 재발 방지를 위한 연계프로그램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법무부 교정본부는 2013년 6월까지 마약류투약수형자를 분리하여 집합 수용할 수 있는 50명 이내 소규모의 마약류전담 재활센터 설립을 추진 중이며, 사전 작업으로 센터 운영에 필요한 구체적인 치료 및 재활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약류사범에 대한 교도소내 치료-재활 모형과 프로그램을 소개, 개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UN과 미국의 마약류사범 치료-재활원칙을 소개하고, 둘째, 치료-재활교육 프로그램의 틀을 이해하기 위한 교도소내 치료공동체(TC) 운영모델과 마약류사범 재활교육-치료프로그램 모델을 소개하며, 셋째, 시청각교육 소개, 스트레스관리,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 등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동기강화 상담 집단 매뉴얼’을 개발하고, 넷째, 센터내 직업재활교육과 출소 후 진로지도, 사회내 유관기관과의 협력 방안 등 ‘직업재활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제2장 마약류사범 치료-재활 원칙과 지침
제1절 마약류사범 치료-재활원칙
-2003년 유엔 마약 및 범죄국(UNODC), ‘마약중독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의 기획과 실천지침(Drug Abus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 Practica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Guide)’
*마약치료재활정책을 기획하기 위한 문제의 틀은 1) 치료재활을 위한 전략틀 개발, 2) 치료 욕구의 사정, 3) 효과적인 치료-재활 서비스, 4) 치료서비스의 개발과 실행, 5) 치료서비스의 효과적인 통합, 6) 치료과정과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이다.
*효과적인 치료재활정책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요청된다. 1) 협력기관 단체의 참여, 2) 지역공동체와 치료재활대상자의 참여, 3) 정책적 투자확보, 4) 적절한 기획과 평가, 5) 구체적 정책필요에 따른 자원배분, 6) 연구조사의 뒷받침, 7) 치료재활에 있어서 점진적 개선방식의 개발, 8) 치료재활프로그램운영에서의 협력, 조정과 통합 증진, 9) 지역공동체의 대응방안마련, 10) 치료재활시설의 활용용이성 확보, 11) 치료재활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점검
-미 보건복지성과 국립약물남용연구소(NIDA), ‘형사사법기관내 마약류 중독 치료의 원칙(Principles of Drug Abuse Treatment for Criminal Justice Populations)’
*첫째, 마약류 중독은 인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종의 뇌 질환이다. 둘째, 마약류 중독으로부터 회복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치료는 행동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기간동안 실시되어야 한다. 넷째, 정확한 사정은 치료의 첫 단계이다. 다섯째,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별 치료 욕구(필요)에 적합한 맞춤형 치료서비스가 중요하다. 여섯째, 치료기간 중의 약물재사용 여부가 면밀하게 모니터 되어야 한다. 일곱째, 치료의 목표에는 범죄행위와 연관된 요인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여덟째, 형사사법기관의 감시감독에는 마약류 중독치료가 포함되어야 하며, 동시에 치료제공자들은 교정보호기관의 감시감독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아홉째, 마약류 중독자의 사회재통합을 위해서는 치료의 지속성(사후관리)이 필수적이다. 열 번째, 균형감 있는 보상과 처벌을 통하여 친사회적 행동과 치료 참가 모두를 촉진시킬 수 있다. 열한 번째, 마약류 중독과 정신질환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중독자들에게는 통합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열두 번째, 마약류 중독자 중 많은 사람들은 약물치료가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열세 번째,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거나 출소하는 마약류 중독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계획은 반드시 B형, C형 간염이나 AIDS, 결핵과 같은 만성적, 중증 질환을 예방하는 전략을 포함하여야 한다.

제2절 UN의 교도소내 마약류사범 치료재활 지침과 각국의 예
-교도소에 수용된 마약사범에 대한 개입(intervention)의 “what works principles”은 재범 위험(risk), 필요(need), 상응성(responsivity)이다.
-교도소내 마약류사범 치료-재활의 구성요소와 각국의 예는 다음과 같다.
*교도소 내에서의 치료참여를 위한 조언 및 정보제공 : 마약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모든 수형자들에게 수감 초기뿐 아니라 수감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정보제공은 특히 형기가 짧은 수형자들에게 중요하다(예 : 슬로바이나, 오스트리아).
*사정(assessment) : 사정은 약물 치료적 개입을 필요로 하는 수형자를 확인하고, 개별 중독자에게 적합한 개입 유형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판별 사정(screening assessment)과 개별 수형자에게 적합한 약물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사정으로 나누어진다.
*약물 교육(drug education) : 약물 및 알코올 교육은 모든 수형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는데, 입소 초기에 실시하고 그 이후에는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약물 교육에는 HIV/AIDS 예방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예 :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란, 브라질).
*약물 치료(Pharmacotherapy) : ‘해독 프로그램(detoxification programmes)’과 ‘금단현상 관리(drug withdrawal management)’, ‘유지 치료요법(maintenance therapy)’으로 구성된다(예, 일본, WHO, 인도네시아, 호주, 오스트리아, 프랑스).
*위험 감소 프로그램(Risk Reduction Programmes) : ‘주사기 교환 프로그램(Needle Syringe exchange Programmes)’, ‘소독제의 배급’, ‘콘돔 배포’로 구성된다(예, 스페인, 키르기스스탄, 영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심리사회적 프로그램(Psychsocial Programmes) : 어떤 형태이든 공식적이고, 구조화된 심리적 혹은 사회적 개입을 말하며, 프로그램은 사정, 명확하게 규정된 치료계획, 치료 목적,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으로 구성된다. 심리성적 프로그램이 단기적 및 장기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가족 및 중요한 타자가 치료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조화된 집단활동(Structured Groupwork) : 상담과 심리치료 서비스와 주거 치료 프로그램(residential drug treatment programmes)로 구성된다(예, 인도, 뉴질랜드)
*신체활동과 스포츠 프로그램(Physical Activity and Sports Programmes) : 운동, 스포츠 활동, 운동기구 사용은 다양한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스트레스 감소와 불안 및 우울증 관리에도 효과적이다(예, 영국).
*자조 집단 등 지지 집단(Support Group including Self-Help Group) : 절제 지지 집단(supported abstinence group), 12단계 만남(AA, NA)이 있다(예, 일본).
*약물없는 사동(Drug Free Unit/Wing) : 단약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수형자들을 위한 공간으로 약물검사를 통해 해당자를 판별한다(예, 남아프리카 공화국)


제3장 마약류사범 교도소내 치료재활 모델 개발
제1절 교도소내 치료공동체(TC) 운영모델
-치료공동체는 영국의 정신과 의사 Maxwell Jones가 1953년 정신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돌보기 위해 처음 사용하였다. 그리고 후에 50년대 후반에 캘리포니아에서 시나논(Synanon) 운동이 일어나 중독자 치료공동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때 당시에는 약물중독에 거의 모든 치료법들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시나논 운동은 약물중독자들에게 회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었고 치료공동체에서 거주하며 많은 중독자들이 약물사용을 중단할 수 있었다.
-치료공동체에 있어서 상호자조치료학습모델은 4개의 치료단계 즉 행동형성관리도구, 심리/정서관리도구, 지적영적관리도구, 직업/생존관리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행동 형성 관리 도구에는 말하기, 조언하기, 다루기, 언어삭발식, 경험학습/나바라보기, 생각하는 의자, 비상총회, 벤치/의자, 금지, 예비 아침모임, 아침모임, 공동체 총회, 직면, 직면 의자, 죄책 직면, 동료직면집단, 참만남집단, 공동체 점검, 사건기록장과 치료계획이 있다.
-알코올/약물 중독자들은 일반적으로 낮은 자존감, 혼란된 정체성, 좌절에 대한 인내심의 결여, 죄책감, 우울 및 분노 등 심각한 정서상의 문제 때문에 고통을 받는다. 심리/정서 관리 도구에는 등록면담, 정서면담, 정규집단, 탐색집단, 확장집단과 마라톤집단, 개인상담, 신규회원 집단(Younger Member Group), 예술치료(Art Feeling Workshop), 주간생활 나누기, 외출/외박 요청서 사전/후 점검 집단, 특별 문제를 다루는 집단과 재발예방집단(Relapse Prevention Group)이 있다.
-회복의 한 부분으로서 영적인 면을 인간의 욕구와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이 요소들은 상호 관계를 가지며, 한 면에서 변화가 됨으로써 또 다른 면에서 변화를 가져오는 것과 연관된다.
*지적/영적 관리 도구에는 세미나, 공동체 철학, 생활철학, 한 주의 주제와 오늘의 생각이 포함된다.
-작업/생존 관리 도구에는 공동체 구조를 오리엔테이션/시설관리 팀, 주방팀, 총무팀, 감찰팀, 조경팀, 관리팀, 운송팀과 세탁팀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공동체 부서 모임, 직무변경, 직무변경을 위한 개별 요청서와 책무 평가, 직무평가, 자기성장평가보고서, 직위위계구조, 상급직위 회의, 명령 체계, 직위 관련 특별 업무들(거주 기간에 따른 회원들의 역할 기대), 공동체 전체 운영관련 특수업무에 일하는 담당자의 역할, 치료의 단계, 기타 직업 훈련 등이 있다.
제2절 마약류사범 재활교육-치료프로그램 모델
-자료에 따르면 마약과 알코올 중독과 관련된 수감자의 비율이 75%에 이른다고 한다. 이들 중독자에 대한 관점은 이론마다 다르다. 대표적 약물인 알코올에 대한 개입에 대한 관점만 해도 알코올 중독을 종교적 죄로 보는 도덕 모델, 알코올이라는 물질을 문제의 원인으로 보는 금주 모델, 음주자의 심리적, 생물학적 요인이 중독자로 만들게 한다는 질병모델, 알코올에 대한 지식의 부재로 원인을 설명하는 교육모델, 중독적 성격을 상정하는 기질모델, 학습의 결과로 보는 조건화 모델, 타인의 행동에 대한 학습으로 원인을 찾는 사회 학습/인지 행동 모델, 중독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를 찾으려는 생물학적 모델, 역기능적 가족 구조에서 중독의 원인을 찾는 일반 가족 시스템 모델, 사회환경과 문화에서 원인을 찾는 사회문화 모델 등이 있다. 각 모델들은 중독의 원인, 단약의 필요성, 치료 목표 등에 대한 입장이 다르다.
-정신역동적 치료는 대상자의 발달 과정상의 어려움들, 부인과 같은 방어기제를 전이, 역전이와 같은 치료 관계를 통해 해석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든다. 또한 어렸을 적 부모, 형제와의 관계와 같이 ‘대상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자아-초자아의 발달을 분석한다. 연구에 따르면 정신역동적 치료는 일부 사람들에게서 더욱 효과이다.
-근본적 행동 접근은 고전적-조작적 학습 이론에 기반을 둔다. 고전적 조건형성치료는 주로 혐오치료와 자극조절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혐오 상상을 이용하는 내현적 민감화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고전적 조건형성은 재발 방지 프로그램에서도 쓰이는데, 특히 공동체 강화 접근에서는 알코올 중독자들에게 음주를 그만하게 도울 수 있는 유인물을 찾아주려 한다. 연구들에 따르면, 초기의 고전적 조건형성과 혐오 모델은 치료에 성공적이지 못하며, 유인물(incentives)을 기반으로 한 모델들이 보다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변화를 시도하는 사람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역할모델을 중추로 하는 사회학습 접근은 약물 남용 치료에서 긴 역사를 갖고 있다. 지난 몇십 년 동안 약물 남용 문제로 분류된 범법자를 다루는 일반적인 치료방법이었던 TC는 최근의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대처기술과 사회기술훈련은 약물 남용자인 사람들에게 상황과 대응 방법을 가르친다. 재발 방지 훈련은 자기효능감 이론과 연관지어 재발 상황에 대응하도록 한다.
-가족치료는 약물중독자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고, 또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족에 관심을 둔다. 약물중독에 빠진 내담자인 “환자로 지목된 사람”(IP)은 약물중독 가족치료의 핵심이다. 각각의 가족치료 이론들(정신역동적, 행동주의적, 가족체계 모델, 의사소통, 다체계적 가족치료 등)은 중독에 대한 관점이 다르다.
-자조단체 또는 지지집단은 치료에서 많은 개인적, 의료적, 사회적 문제에 대해 중요한 부가물이 되었다. 12단계 모델을 사용하는 AA가 대표적인 예이다. AA는 알코올 치료에 대한 심리학적 모델로 여겨지지 않으며, 약물 중독을 복합적으로 바라보는 인지행동적 접근과는 대조적인 메시지를 준다. AA는 약물, 중독자에 따라 여러 가지의 변형된 형태들이 있다.
-약학적 접근은 약물에 대한 대항물질, 대체물질을 제공하는데, 아편에 대해서는 대항물질인 날트렉손과 대체물질인 메타돈이 그것이다. 메타돈 유지법은 환자에게 관리 하에 메타돈 일일량을 주는 통원환자 치료의 형태이자, 가장 논란이 많은 치료법이다. 메타돈 유지법은 마약의 사용량을 0이 아니라 일정한 수준으로 낮추는 데 목표를 둔다. 따라서 메타돈 유지법은 피해 감소가 목표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기획 과정에서 대상자의 반응도를 고려한 프로그램 선정이 필요하다. 대상자의 반응도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변화 단계, 내담자의 여러 문제들과 물질남용으로 인한 개인의 상태, 인종, 성, 사회적 지위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약물중독으로 인해 범죄자가 되는 여성들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음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여성이 관계속에서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자기상관 모델은 여성치료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핵심이다.
제4장 마약류사범 교도소내 치료-재활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안
제1절 직업재활 프로그램 개선방안
-직업훈련은 수형자에게 사회복귀 후 각종의 직업에 취업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습득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을 의미한다. 출소자들이 원활하게 취업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직업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이 교도시설 내에서 뿐만 아니라 출소 후에도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정부에서는 수형자들의 원만한 사회복귀를 위해 수형자를 대상으로 학과교육 및 직업훈련, 사회적응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 중 수형자의 직업훈련과정은 양성훈련, 향상훈련, 고급훈련의 3단계로 나누어지며, 각 과정은 일정한 기능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형자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지침’에 따르면 수형자 직업훈련의 형태는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 적용여부, 직업훈련의 시행방법, 직업훈련의 기술습득 과정, 직업훈련의 내용 등의 기준으로 구분된다.
*직업훈련 프로그램 운용은 크게 IT분야와 비IT분야로 나뉜다. 또한 등급별로 기능사 44개 과정, 산업기사 11개 과정, 기사 이상 10개 과정, 전문숙련훈련 10개 과정으로 시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직업훈련과정은 보통 6개월에서 2년 과정으로 운용되며 각 교정시설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건축시공, 광고디자인, 산업설비, 자동차 정비, 전산응용건축, 창호디자인, 선반, 건축도장, 식품조리, 제과제빵과 같은 과정들이 실시되고 있다.
-현행 직업훈련 시스템은 특정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정원의 수형자가 집체교육을 통해 직업훈련 교육에만 전념하도록 되어있는데, 이러한 시스템 운영은 수형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좁게 만들고 수료 후에도 제대로 된 숙련과정과 연계되지 않으며, 죄질, 형기, 학력, 나이 등이 다양한 수형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에는 적합하지 않다.
*수형자 직업훈련 예산은 교도작업 특별회계상의 이익금 범위 내에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직업훈련예산이 독립되지 않아 투자확대가 쉽지 않다.
*수형자 직업훈련 직종은 급변하는 사회와 노동시장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취업유망직종이 떠오르면 시장의 상황은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과목을 편성하는 경향이 있다.
*직업훈련의 대상은 형법상 제대에 의해 형의 복역 중에 있는 수형자이며, 직업훈련은 형벌권의 집행이라는 점과 교육행형의 구현으로써 교육 및 훈련을 시켜야 한다는 점을 조화시켜야 한다.
-ACT(Assertive Community Treatment/적극적 지역사회 치료)는 정신장애인들을 위한 사례관리 모델 중의 하나이다. ACT는 기본적인 사례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다른 지역사회 서비스와의 연계 없이 수용자들에게 필요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직접 제공한다. ACT는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신과 의사, 간호사, 재활 상담가, 물질남용 상담가, 사례 관리자 등을 포함한 다학제간 팀으로 구성되며, 지역사회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들이 잘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직업교육은 일시적인 개념이 아니라 마약류 사범들이 출소 후 취업에 성공하고 일자리에서 적응하기까지 지속적으로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지속적인 개념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업교육이라는 단어보다 직업재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포괄적인 의미를 담을 수 있다. 마약류 사범들의 직업재활에는 마약류 사범들을 출소 이후에 약물관리부터 시작하여 일상적인 생활방식까지의 지속적인 돌봄이 필요하므로 ACT 방식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제2절 동기강화 상담 집단 매뉴얼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 내 마약류사범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동기강화 상담 집단 매뉴얼을 개발, 제시하였다. 매뉴얼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다.
*제1회기 오리엔테이션
*제2회기 감정
*제3회기 이득과 손실
*제4회기 대안활동
*제5회기 가치관
*제6회기 비젼 및 사후평가, 자조집단에 대한 교육

제5장 제언
-연구에 따르면 교정재활 프로그램은 범죄자들의 재범률을 효과적으로 낮출 뿐 아니라, 범죄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재범, 재발이 이어지는 것 같은 이유는 ‘임상가들의 착시’ 현상 때문인데, 이 때문에 교정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노력과 투자를 등한시 해왔던 것이 현 실정이다. 마약류사범 치료재활을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아래와 같다.
*첫째, 교정재활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참여율과 자발성을 높이기 위해 관계중심적, 동기강화적이어야 한다. 이 요인들은 어떤 치료법을 사용하는가 보다 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자기-결정 이론에 의하면 강제적 동기가 아닌 내재적 동기가 있을 때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둘째, 교정재활 프로그램은 의미중심적, 삶의 의미를 재정립 하는 데 목표를 두어야 한다. 의미치료를 발전시킨 Victor Frankl에 의하면 인간은 삶의 의미를 갖지 못할 때 공격적이 되며, 빈 공간을 다른 것들로 채워 넣게 되며, 자신에게 의미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 많은 문제들이 해결된다고 본다.
*셋째, 교정재활 프로그램은 근거중심적, 통합적이어야 하며, 리더십은 변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교정 시스템의 변화를 위해서는 실무 인력과의 공감과 협조, 상호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동시에 정책 입안자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감독자들과 같은 리더들의 자발적 개입이 중요하다. 또한 제공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과학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하고 개선되어야 할 부분을 찾아내며 지속적으로 보안하는 근거중심적 성격을 지녀야 한다.
*변화는 대단히 어려운 과정이며 변화에 저항할 많은 이유들을 보통 우리는 가지고 있다. 변화를 위한 이유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계획하고 변화를 방해하는 장벽을 제거해 나가고 동기를 부여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강력한 리더십이 정책입안자 에서부터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필요하며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교정재활 프로그램의 방향은 관계중심적이며 동기강화적이고 의미지향적이어야하며 실증적 연구결과에 부합하는 근거중심적인 것이어야 한다.
목차
목차 국문요약 9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 21 1. 연구의 필요성 21 2. 연구의 목적 28 제2절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28 1. 연구 내용 28 2. 연구 방법 29 제2장 마약류사범 치료·재활 원칙과 지침 31 제1절 마약류사범 치료·재활 원칙 33 1. UN의 마약류중독자 치료재활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33 2. 미국 보건복지성과 국립약물남용연구소의 마약류중독 치료원칙 36 제2절 UN의 교도소내 마약류사범 치료재활 지침과 각국의 예 47 1. 효과원칙과 자발적·강제적 치료 47 2. 교도소내 치료·재활프로그램 구성요소와 각국의 예 48 제3장 마약류사범 교도소내 치료·재활모델 개발 73 제1절 교도소내 치료공동체(TC) 운영모델 75 1. 치료공동체(Therapeutic Community)의 이해 75 2. 행동 형성 관리 도구 79 3. 심리ㆍ정서 관리 도구 110 4. 지적ㆍ영적 관리 도구 136 5. 작업ㆍ생존 관리 도구 144 제2절 마약류사범 재활교육?치료 모델 176 1. 알코올 개입에 대한 모델 177 2. 정신역동적 접근 180 3. 근본적 행동 접근 182 4. 사회학습/인지-행동 접근 186 5. 가족 치료 접근 191 6. 지지집단의 중요성 194 7. 약학적 접근 196 8. 치료에서 물질남용 범죄자의 반응도 고려사항(Responsivity consideration) 197 9. 소결 203 제4장 마약류사범 교도소내 치료?재활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안 205 제1절 직업재활 프로그램 개선방안 207 1. 수형자 대상 직업교육의 필요성 207 2. 국내 교정시설 수형자 직업훈련 현황 208 3. 직업훈련의 문제점 213 4.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선방안 : 마약류 사범을 중심으로 215 제2절 동기강화 상담 집단 매뉴얼 219 1회기 오리엔테이션 222 2회기 나의 환경 인식하기 235 3회기 문제의 이득 vs. 손실파악하기 241 4회기 대안활동 : 말하는 대로 250 5회기 가치관 259 6회기 비전/사후평가 267 제5장 제언 275 참고문헌 283 Abstract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