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1. 메인
  2. 도서관 서비스
  3. 신착도서

신착도서

연구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협동총서 14-63-012020년 BEST 30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Ⅰ: IEA ICCS 2016: 총괄보고서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형태사항
268 p: 삽도, 27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255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25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52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525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른 사회의 변화 속에서 청소년들이 성공적으로 기능하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산업사회와는 차별화된 개인의 역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미래에 핵심인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청소년의 역량과 이를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에 대한 국제적 관심도 점차 깊어지고 있으며, OECD, UNESCO 등의 국제기관에서는 역량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청소년의 핵심역량 증진에 관심을 갖고 교육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그 일환으로 5개년 계획인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 IEA ICCS 2016’ 연구 계획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제 1차년도 연구과제로써, 청소년 역량을 경험·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과제는 청소년 역량의 국제비교 연구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수행에 있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도구 개발 및 국제 비교 연구를 총괄하며, 5개의 청소년 역량지수 중 생애학습역량, 생활관리역량, 진로개발역량, 대인관계역량 관련 측정도구 개발을 담당하고, 협동기관으로써 한국교육개발원이 사회참여역량에 대한 부분을 담당하여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핵심역량 5개와 하위요소 16개가 도출되었다: 생애학습역량(사고력, 지적도구활용력, 학습적응성), 생활관리역량(건강관리, 과제관리, 상황대처, 정서조절), 진로개발역량(진로설계, 여가활용, 개척정신), 대인관계역량(관계형성, 리더십, 협동), 사회참여역량(개인 시민성, 공동체 시민성, 세계 시민성). 도출된 5개의 핵심역량군을 중심으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을 위해 총 322개의 문항을 구성하였고, 개발된 측정도구 문항의 타당화 검증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6개 시·도의 표본학급을 추출하여 초등학교 48개 학교, 중학교 81개 학교, 고등학교 96개 학교 등 총 225개 학교를 할당하였고, 설문조사에 참여한 총 6,758명의 데이터 중 121명의 데이터를 제거하여 최종 6,637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설문조사 후 문항분석과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애학습역량 37개, 생활관리역량 48개, 진로개발역량 39개, 대인관계역량 46개, 사회참여역량 63개 등 총 234문항이 도출되었으며, 5개의 역량과 16개의 하위요소들 모두 모형의 적합도가 확인되었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6 1) 국제비교(ICCS 2016)를 위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도구 프로토타입(prototype) 개발 7 2) 개발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도구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 8 3. 연구추진체계 9 Ⅱ. 청소년 역량에 대한 선행문헌분석 13 1. 청소년 역량의 개념 및 특징 15 1) 청소년 역량의 개념 15 2.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의 개념 및 하위구성요소의 탐색 17 1) 생애학습역량(Life-long Learning Competency)의 개념 17 2) 생애학습역량의 하위구성 요소 20 3. 생활관리역량의 개념 및 하위구성요소의 탐색 25 1) 생활관리역량지표 25 4. 진로개발역량의 개념 및 하위구성요소의 탐색 29 5. 대인관계역량의 개념 및 하위구성요소의 탐색 34 6. 사회참여역량의 개념 및 하위구성요소의 탐색 43 Ⅲ. 연구방법 45 1.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도구 개발 개요 47 2.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도구 예비 문항 개발 48 1) 생애학습역량 측정도구 예비 문항 개발 48 2) 생활관리역량 측정도구 예비 문항 개발 53 3)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 예비 문항 개발 62 4) 대인관계 역량 측정도구 예비 문항 개발 69 5) 사회참여역량 측정도구 예비 문항 개발 73 3.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도구 문항 개발 예비 본 조사 개요 79 1) 조사대상 표집설계 79 2) 조사내용 83 3) 조사결과 86 4. 자료분석 89 Ⅳ. 연구결과: 청소년 역량 측정 도구 예비 문항 개발 93 1. 생애학습역량 측정도구 문항 개발 95 1) 생애학습역량 척도 문항 분석 및 정규성 평가 95 2) 생애학습역량 측정도구 문항의 구성타당도 98 2. 생활관리역량 측정도구 문항 개발 115 1) 생활관리역량 척도 문항 분석 및 정규성 평가 115 2) 탐색적 요인분석 120 3) 확인적 요인분석 130 3.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 문항 개발 141 1) 진로개발역량 척도 문항 분석 및 정규성 평가 141 2) 진로개발역량 척도의 구성타당도 144 4. 대인관계역량 측정도구 문항 개발 161 1) 대인관계역량 척도 문항 분석 및 정규성 평가 161 2) 대인관계 역량 척도의 구성타당도 165 5. 사회참여역량 측정도구 문항 개발 184 1) 사회참여역량 척도 문항 분석 및 정규성 평가 184 2) 사회참여역량 척도의 구성타당도 187 6.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도구 최종 영역 및 문항 구성 197 7. 청소년 역량지수 구성 체계에 다른 개념적 특징 200 Ⅴ. 논의 및 정책제언 215 1. 논의 217 2. 정책적 제언 222 참 고 문 헌 233 부 록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