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도서관 서비스

  1. 메인
  2. 도서관 서비스
  3. 신착도서

신착도서

연구보고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성사업 연구Ⅳ: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시범사업Ⅱ 운영과 정책화 방안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형태사항
229 p: 삽도, 27 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비통제주제어
행복마을, 지표개발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6600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6601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660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660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2016년 고유과제인 ‘청소년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 개발 및 조성사업 연구 VI’의 세부과제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시범사업 운영Ⅱ과 정책화 방안’의 연구과정과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연속 과제로 추진되어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 등은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년도 연구 또한 그동안의 연구 설계와 동일한 프레임을 유지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연차별 연속성과 차별성 확보를 위한 연구로 구분하여 추진하였다. 구체적인 영역으로 ①국내외 ‘마을만들기’ 유사사례 관련 자료 및 현장 면접조사 분석, ②청소년 행복마을 활성화를 위한 실행프로그램 개발, ③청소년행복마을 조성 시범사업 2개 지역 실시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및 효과 분석, ④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정책화 방안 도출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현장 면접조사, 전문가 콜로키움, 청소년과 전문가, 그리고 연구진과 현장 공무원이 참석한 포럼, 설문조사, 시범사업 실시, 전문가 자문회의 및 정책협의회 등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행복마을 조성과 정책화 방안에 관한 정책제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 행복마을 조성을 위해서는 먼저 청소년 자치활동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자치위원회와 학습공동체 등을 통해 청소년들이 마을의 당면한 문제를 발견하고 실질적으로 개선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재원확보는 지역사회 후원조직과 생활협동조합 활동 등을 통한 자체 재원조달 노력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들과 주민들이 시작 단계부터 참여를 통한 주도적인 운영과 이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마지막 정책화 방안으로 정부 차원의 표준화된 ‘청소년행복마을 만들기’ 사업의 추진보다는 시범사업, 우수사례 발굴, 공모전 등을 통해 ‘지역별 특성화 모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점차적으로 확산시키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의 배경 및 연차별 추진 과정 5 3. 연구내용 및 방법 9 Ⅱ. 청소년행복마을 조성 시범사업 운영 과정 및 개선방안 13 1. 2016 시범사업 추진 개요 15 2. 군산시 시범사업 진행 및 주요 활동 내용 17 1) 인구 현황 및 시범사업 추진 개요 17 2) 시범사업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현황 18 3) 시범사업 참여자 모집 채널 19 4) 2016년도 시범사업 운영계획 21 5) 2016년도 시범사업 운영 과정 및 개선방안 29 6) 시범사업 자체평가 및 개선방안 42 3. 이천시 시범사업 진행 및 주요 활동 내용 64 1) 참여지역 현황 64 2) 프로그램 운영계획 65 3) 추진 내용 및 개선방안 67 4. 시범사업 효과분석 76 1) 조사개요 76 2)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7 3) 주관적 웰빙지표영역 분석결과 78 4) 관계 지표 영역 분석결과 83 5. 시사점 및 종합제언 90 1) 시범사업 효과분석에 따른 시사점 90 2) 경제영역 91 3) 참여영역 95 4) 관계‧활동영역 98 Ⅲ. ‘청소년행복마을만들기’ 국내외 유사 사례분석 및 시사점 103 1. 전국마을만들기 현황 및 지원체계 분석 105 1) 중앙정부와 광역지자체의 마을 만들기 정책 분석 105 2) 전국 ‘행복마을만들기’ 콘테스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107 3)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 지역의 아동‧청소년대상사업분석 113 2. 모두의 청소년 교육 ‘우리마을 교육나눔’ 사업 분석 114 1) 추진 배경 및 근거 114 2) 추진 목적 및 기조 114 3) 추진 체계 및 추진 내용 115 4) 마을별 교육나눔 프로그램 유형 분석 117 3. ‘행복마을만들기’ 현장 사례조사 및 내용 분석 121 1) 희망세상(행복마을 반송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121 2) ‘마을은 학교다’ 프로젝트가 주는 시사점 124 Ⅳ. ‘유럽의 청소년참여제도 운영 현황 및 시사점 129 1. 개요 131 2. 유럽의 청소년포럼(European Youth Forum) 132 1) 비전과 목적 132 2) 재정 운영과 회원 자격 133 3) 국가별 사례 133 3. 유럽의 청소년의회(European Youth Parliament) 135 1) 배경과 목적 135 2) 유럽 청소년의회 운영전략 137 3) 영국 청소년의회 139 4) 핀란드 청소년의회 142 5) 아일랜드 청소년의회 143 4. 논의 및 시사점 144 Ⅴ.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실천방안 147 1. 청소년행복마을 만들기 추진 절차 및 단계별 추진전략 149 1) 추진계획 수립 절차 149 2) 단계별 추진전략 150 3) 행복마을만들기 교육 과정 152 2. 청소년행복마을 만들기 주체별 역할 규명과 교육훈련 방안 153 1) ‘청소년행복(친화)마을만들기’ 사업의 추진 관점 및 운영 실태 153 2) 청소년행복(친화)마을 만들기를 위한 각 주체별 역할 규명 155 3) 청소년행복마을 만들기 관계자의 교육훈련 방안 제안 160 3.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운영모형 및 지원체계 162 1) 청소년 행복마을 만들기 운영모형 162 2) 청소년의 역할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과 협력적 지원체계 164 4. 청소년행복마을 조성을 위한 실행프로그램 개발 166 1)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워크숍 166 2) 워크숍 결과 168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79 1. 결론 181 2. 정책 제언 184 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시범사업에 따른 종합제언 184 2) 청소년행복마을 조성을 위한 영역별 실천방안 186 3) 청소년행복마을 조성을 위한 중장기 추진 로드맵 194 4) 청소년행복마을 조성을 위한 정책화 방안 및 추진전략 제언 195 5) 청소년 행복마을 관련 정책과 법제도 개정 및 연구내용 조정(안) 198 참고문헌 203 부 록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