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3618 | 대출가능 | -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3619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2361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 00023619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연구는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로 청소년에게 주어진 주2일의 휴일에 대한 학교 밖 활동지원이 중요해 짐에 따라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마련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5일수업제와 청소년활동관련 문헌분석 및 국내·외 주요 사례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청소년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 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미나, 전문가워크숍, 정책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설문·면접조사, 전문가워크숍 등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주5일수업제에 대한 인식과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활동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및 기능강화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내 청소년활동전담센터 건립·운영 및 지역사회중심 청소년활동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활동 참여기회 확대 및 지역사회 민간 참여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개발·운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전문화 및 재정립이 필요하다. 일곱째, 중앙과 지방의 청소년활동지원체계 정비 및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주5일수업제 전면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청소년활동정책의 방향을 ① 언제, 어디서나 청소년활동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information) ②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필요한 활동에 참가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infrastructure) ③ 언제, 어디서나 편리한 활동기록 누적 및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며(incentive) ④ 부모, 학교, 사회가 지지하는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interconnection)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4가지 정책 방향의 첫 글자를 따서 4I's로 청소년활동정책의 재구조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활동 참가기회부여와 참가를 보장하기 위해서 크게 학교시설중심, 청소년수련시설중심, 지역사회중심 청소년활동 활성화 과제로 대분류하여 제언하였다. 아울러 공통과제로는 맞벌이 가정과 저소득층청소년의 주말활동 지원, 여성청소년 활동지원 방안도 별도로 설정하였으며, 중앙과 지방의 청소년활동지원체계 정비 및 기능 강화와 제안된 정책과제를 뒷받침하는 관련 법령 개정 등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과제 등 2개의 추진체계정비 역시 별도의 과제로 제안하였다.
목차
목차
I. 서론
1. 연구배경과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연구추진체계
Ⅱ. 이론적 배경
1. 주5일수업제 접근의 논점
2. 주5일수업제와 학교교육의 변화
3. 교과속의 체험학습(활동)요소: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Ⅲ. 국내·외 주요사례
1. 국내 주요사례
2. 국외 주요사례
Ⅳ. 주5일수업제와 청소년활동 관련 인식·요구분석
1. 설문조사개요
2. 설문조사결과
3. 면접조사개요
4. 면접조사결과
5. 소결 및 시사점
Ⅴ. 정책제언: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1. 청소년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의 기본전제와 방향
2.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설문조사지: 초등학생용
2. 설문조사지: 초등학교학부모용
3. 설문조사지: 초등학교교사용
4. 설문조사지: 중고등학생용
5. 설문조사지: 중고등학교학부모용
6. 설문조사지: 중고등학교교사용
7. 면접조사지: 청소년지도자용
8. 면접조사지: 교사용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