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청소년자격제도 개선방안 연구

발행사항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형태사항
139 p: 삽도, 27cm
일반주기
연구보고 14-R22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14269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1811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1426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1811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청소년이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의 역량을 발견하고 선택하며, 새로운 도전을 위한 다양한 기회가 보장되어 자신만의 꿈과 끼를 찾고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체계가 갖추어져야 한다. 청소년 성장환경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을 지원할 수 있는 성인자원의 확대와 양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청소년 전문 인력의 역할과 책무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요구된다. 또한 국가자격증인 청소년지도사와 더불어 시대변화에 주목하면서 필요한 전문성을 높이고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청소년관련 민간자격 제도의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양질의 청소년 성장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국가자격제도와 더불어 민간의 다양한 전문성이 청소년정책의 한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및 민간자격제도에 대한 일반적 현황의 이해를 통해 청소년 영역에서의 자격제도 전반에 대한 쟁점사안과 현황을 가늠해보고, 자격제도 개선을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함과 동시에 현재 발급되고 있는 청소년 지도사자격증 및 민간자격제도의 실태 및 현황을 파악·분석함으로써 향후 자격제도 정책추진 방향을 모색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및 청소년 자격제도 현황 전반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현장과 학계 및 정책실무자 등 다수의 청소년관련 전문가를 선정하여 청소년 민간자격증 도입배경과 필요성, 민간자격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 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통해 청소년 자격제도 전반에 걸친 장단점을 파악 및 연구 방향과 연구 내용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자격제도 전반에 대한 청소년 지도자들의 요구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점차 세분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는 청소년활동영역에서 기존 국가자격제도(청소년지도사)의 개선방안과 청소년 민간자격제도에 대한 전반적 기초정보를 수집하여 정책추진 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점차로 세분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는 청소년 활동영역에서 국가 및 민간자격 제도의 향후 전망과 쟁점사항을 가늠해 보고 향후 정책과제를 추진함에 있어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2. 연구내용 5 3. 연구방법 5 Ⅱ. 청소년활동 영역에서의 정책 환경의 변화 7 1. 청소년활동의 대·내외적 환경변화와 양상 9 2. 청소년활동 영역에서의 전문성 제고의 필요성 11 Ⅲ. 청소년관련 자격제도의 일반현황 15 1.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일반현황 17 2. 청소년분야 자격제도의 일반 현황 21 3. 소결 및 시사점 46 Ⅳ. 청소년관련 전문자격제도의 쟁점과 발전과제 49 1. 청소년 국가자격제도(청소년지도사)의 쟁점과 발전과제 51 2. 청소년 민간자격 제도의 쟁점과 발전과제 84 Ⅴ. 청소년관련 자격제도 실태조사 97 1. 청소년관련 자격제도 조사개요 99 2. 청소년관련 자격제도 조사결과 101 3. 조사결과 요약 115 Ⅵ. 청소년활동 활성화방안으로서의 자격제도 정책방향 117 1. 청소년국가자격제도 개선 119 2. 청소년활동 민간자격제도의 도입 121 참고 문헌 125 부록. 청소년분야 자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실태조사 설문지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