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재난은 평등하지 않다

저자
정용주
발행사항
교육공동체벗, 2020; 서울
형태사항
332 p: 삽도, 21 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989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989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이 책은 총 3부와 부록으로 구성돼 있다. ‘1부 - 코로나 시대, 학교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에서는 코로나19라는 재난과 마주한 학교의 모습을 그리며 학교의 존재 이유가 무엇인지, 코로나19가 드러낸 교육의 문제는 무엇이었는지 성찰한다. 조영선은 〈코로나19와 입시 중 누가 더 힘이 셀까〉라는 주제로 두 편의 글을 통해 온라인 수업부터 등교 개학까지의 시간과, 이후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도 감수하고 수능 총력전을 치르기까지의 시간을 들여다본다. 한국 교육의 존재 이유가 결국 입시에 있었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다. 온라인 교육의 시대, 교사는, 학교는 어떤 의미일까. 〈코로나 시대, 한 교사의 응전 일기〉를 쓴 김진우의 글에서는 코로나 시대, 교사의 존재론적인 고민이 묻어난다. 정형철은 〈코로나 시대, 아이들은 왜 학교에 가야 하는가〉라는 글을 통해 ‘장기 비상시대’라 칭할 수 있는 이 시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 가야 하는 이유를 성찰한다. 이하나의 글 〈남몰래 거인이 되다〉는 학교가 그동안 해 왔던 역할을 다시금 주목하면서 학교를 어떤 공간으로 만들지를 고민한다. 교육농을 실천하고 있는 조진희(〈학교 텃밭과 텃논이 ‘미래 교실’이다〉)는 모든 게 멈추었던 2020년, 학교 내 유일한 소통의 공간이었던 학교 텃밭과 텃논을 통해 새로운 ‘미래 교실’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2부 - 위험은 민주적이지 않다’에서는 코로나19가 만들어 내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와 그 과정에서 배제되거나 소외되는 이들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초등 교사인 정용주는 〈‘포스트 코로나 교육’이 아닌 ‘지금 코로나 교육’〉에서 온라인 시대, 공교육은 단순히 동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가정 학습에서의 공공성의 추구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한다. 코로나 시대, 사람들 사이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꿈에도 사회적 거리가 만들어졌음을 고백하는 기찻길옆 작은학교 이야기(〈아이들의 꿈에도 사회적 거리가 만들어졌다〉(김중미))와 힘든 여건에서도 배움의 길을 멈추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그 감염병의 무게’를 이겨 내는 노들야학의 이야기(〈코로나 시대, 노들야학은 어떻게 살아가는가〉(천성호))는 재난이 평등하지 않음을 아프게 깨닫게 한다. 이윤승은 〈특성화고 학생들, 그들 각자의 고민〉을 통해 온 나라가 인문계 고3의 대학 입시 문제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사이, 얼어붙은 취업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전한 특성화고 학생들의 이야기를 전한다. 이현애는, 〈코로나19가 호출한 노동과 몸, 그리고 교육〉이라는 글에서 ‘노동’과 ‘몸’, ‘교육’을 키워드로 교육과 사회를 가로질러 코로나19로 인해 드러나고 심화되고 있는 핵심 문제들을 짚는다. ‘3부 - 재난 이후 우리가 만들어 갈 사회’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라는 이름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미래 사회와 학교교육에 대한 낭만적 상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온라인 교육 시장의 문제, 교육 체제 전환, 돌봄 문제 등을 다룬다. 채효정은 〈‘구글리피케이션’〉에서 팬데믹 상황을 교육을 ‘갈아엎을’ 절호의 기회로 삼고 있는 자본에 대해 폭로한다. 구글의 사례를 통해 플랫폼 기업이 어떻게 학교를 점령해 왔는지를 돌아본 그는, 교육 시스템을 바꿀 절호의 기회는 자본의 것이기도 하지만 민중의 것이기도 하다는 것을 일깨운다. 〈재난의 비일상에서 새로운 일상의 재구성으로〉에서는 코로나 상황에서 또 하나의 이슈였던 대학 등록금 반환 운동의 의의와 한계를 다룬다. 강석남은 등록금 반환 운동이 비대면 강의가 대학교육을 온전히 대체할 수 없다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소비자로서의 자기 호명에서 벗어나 대안적 대학교육의 상을 그려 나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서상희의 〈인권으로서의 어린이·청소년 돌봄〉은 코로나 시대, 어린이·청소년에 대한 돌봄을 돌아보는 글이다. 저자는 코로나 상황에서 어린이·청소년의 돌봄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배경에는 기존의 돌봄 체계의 허약성이 있다고 폭로한다. 현재 우리 사회의 돌봄 시스템의 문제를 돌아본 그는 인권으로서 어린이·청소년의 돌봄에 대해 접근하는 ‘인식의 전환’을 촉구한다. 3부 마지막 글, 〈부정한 동맹에서 정의로운 전환으로〉(정용주)에서 저자는, 지젝의 표현을 빌려 “중요한 것은 일상생활로 돌아간 그 다음 날”이라고 말한다. 그는 미래가 징후를 보내는 지금, 진정한 성찰의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면 팬데믹이 지나간 다음에도 우리들의 삶은 아무것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일갈한다. 마지막으로 ‘부록 - 코로나19 현장 리포트 : 코로나 바이러스가 소환한 학교와 교육’에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통해 코로나 시대 교육 현장에서 길어 올린 사유를 생생히 전한다. 온라인 등교 상황에서 노동의 의미를 다시 묻는가 하면(〈교사 노동과 학교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양서영), 〈코로나19가 드러낸 급식 노동자의 현실과 학교의 민낯〉(정명옥)), 코로나 시대, 아이들이 잃어버린 것들을 성찰하기도 한다(〈교실 속 섬이 되어 버린 아이들〉(박노해), 〈코로나19가 학생들에게 남길 흔적〉(안정선)). 코로나 상황에서 수업과 평가 방식의 변화 속에서 학교와 교육의 의미를 고민하는 교사의 목소리(〈배우려는 아이들, 배울 수 없는 학교 1, 2〉(정수연))도 있는 한편 작은 학교의 장점을 살려 다른 교육과 삶의 방식을 고민하려는 노력도 엿볼 수 있다(〈농·산촌 작은 학교에서 다른 삶의 방식을 고민하다〉(김석규), 〈작은 학교이기에 할 수 있었던 것들〉(김인순)). 누구보다 힘겨운 한 해를 보냈을 장애 학생들의 이야기를 담은 특수 교사 윤규식의 글(〈장애 학생에게도 ‘평범한’ 오늘은 올까〉)은 재난 상황에서 우리가 놓친 지점들을 다시금 환기시킨다. 마지막 최영미의 글(〈코로나19로 멈춰진 일상에서 학교를 생각하다〉에는 학부모로서 코로나19 사태를 경험하며 느낀 점들을 담았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들이 재난 상황에서도 습득되어야 할 만큼 절실한 것들인지, 감염병 전염을 이유로 온라인 학습을 일상화하는 것이 과연 교육적인지 담담하게 묻는 질문들에는 묵직한 여운이 느껴진다.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 정용주 …… 6 1부 . 코로나 시대, 학교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코로나19와 입시 중 누가 더 힘이 셀까 1 - 온라인 교육에서 등교 준비까지 | 조영선 …… 18 코로나19와 입시 중 누가 더 힘이 셀까 2 - 코로나19 속에 달리는 입시 열차 | 조영선 …… 33 코로나 시대, 한 교사의 응전 일기 - 만나지 않고 배울 수 있는가 | 김진우 …… 55 코로나 시대, 아이들은 왜 학교에 가야 하는가 - 장기 비상시대의 교육 | 정형철 …… 75 남몰래 거인이 되다 - 코로나 팬데믹으로 증명된 학교의 역할 | 이하나 …… 87 학교 텃밭과 텃논이 ‘미래 교실’이다 - 코로나 시대, 전환의 교육학 | 조진희 …… 104 2부 . 위험은 민주적이지 않다 ‘포스트 코로나 교육’이 아닌 ‘지금 코로나 교육’ - 나의 지극히 개인적인 코로나 시대의 교육 사례 | 정용주 …… 120 아이들의 꿈에도 사회적 거리가 만들어졌다 - 재난은 누구에게나 ‘평등’한가 | 김중미 …… 136 코로나 시대, 노들야학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 장애인과 코로나19, 그 감염병의 무게 | 천성호 …… 154 특성화고 학생들, 그들 각자의 고민 - 코로나19 사태, 취업 희망 학생들과 학교의 존재 이유를 생각하며 | 이윤승 …… 167 코로나19가 호출한 노동과 몸, 그리고 교육 - 코로나 시대가 드러낸 교육과 교사의 역할 | 이현애 …… 182 3부 . 재난 이후 우리가 만들어 갈 사회 ‘구글리피케이션’ - 온라인 교육 시장이 공유지를 약탈하는 방법 | 채효정 …… 202 재난의 비일상에서 새로운 일상의 재구성으로 - 대학 등록금 반환 운동의 의의와 한계 | 강석남 …… 223 인권으로서의 어린이·청소년 돌봄 - 코로나 시대, 돌봄을 돌아보다 | 서상희 …… 240 부정한 동맹에서 정의로운 전환으로 - 일상으로 돌아간 이후의 교육 | 정용주 …… 257 부록 . 코로나19 현장 리포트 - 코로나 바이러스가 소환한 학교와 교육 교사 노동과 학교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 양서영 …… 282 교실 속 섬이 되어 버린 아이들 | 박노해 …… 287 농·산촌 작은 학교에서 다른 삶의 방식을 고민하다 | 김석규 …… 291 배우려는 아이들, 배울 수 없는 학교 1 - 수업편 : 위기는 기회가 될 수 있을까 | 정수연 …… 295 배우려는 아이들, 배울 수 없는 학교 2 - 평가편 : 아이들에게 미안하다 | 정수연 …… 301 코로나19가 드러낸 급식 노동자의 현실과 학교의 민낯 | 정명옥 …… 305 작은 학교이기에 할 수 있었던 것들 | 김인순 …… 312 코로나19가 학생들에게 남길 흔적 | 안정선 …… 316 장애 학생에게도 ‘평범한’ 오늘은 올까 | 윤규식 …… 322 코로나19로 멈춰진 일상에서 학교를 생각하다 | 최영미 ……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