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소장자료 검색

소장자료 검색

단행본

제3의 창업시대: 로컬, 청년, 사회

발행사항
서울: 더가능연구소, 2022
형태사항
196 p.: 삽도, 22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비통제주제어
창업, 지역창업, 지역문화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3082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308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제1의 창업 제조업, 제2의 창업 IT 벤처, 이제 로컬 창업, 제3의 창업 시대다

인구소멸과 청년 위기론이 압도적인 시대, 자본이 있는 사업가(제1의 창업 주체)나 기술력이 있는 벤처 창업가(제2의 창업 주체)와 달리, 제3의 창업 주체인 청년들은 기업가라기보다는 지역 일꾼과 같은 이미지다. 이들은 제3의 장소인 로컬에서, 제3의 가치인 지역과 공생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들은 황무지와 같은 로컬에서 상품판매형, 공간재생형, 문화기획형, 지역체험형, 농업지향형, 문제해결형, 로컬 미디어형이라는 7개 창업 유형을 만들어내고 있다.
물론 그 과정이 매끄럽지만은 않다. 성과중심주의 환경에서 과정의 가치를 살려야 하고, 탁상행정이 아닌 현장 밀착형 행정 지원이 절실하기도 하다. 또한 지역 현실을 구석구석 찾아다니며 청년과 주민과 지자체가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슈퍼 공무원도 필요하다.
더 많은 유형의 지역창업이 등장하고 더 많은 사람이 협력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 책은 청년의 지역창업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행복한 지역에는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 왜 지역창업인가 제1부 | 지역창업 환경 제1장 | 창업 거점과 주체의 위기 창업 거점의 위기: 지역소멸 창업 주체의 위기: 청년위기 제2장 | 제3의 창업 시대: 장소·주체·가치의 전환 제1, 2의 창업 시대 제3의 장소·주체·가치 제3의 창업 목적과 유형 제2부 | 지역창업 사례 제3장 | 상품판매형 창업 특산품 판매에서 로컬 F&B로 로컬 시제품 제작과 테스트베드 확보의 어려움 시제품과 판로 개척의 티핑포인트: 온라인 콘텐츠 완제품+α: 제작 경험 제공 제4장 | 공간재생형 창업 공간 개조에서 지역문화 기획으로 빈 공간의 가능성과 비전 복합형 공간 매니지먼트 커뮤니티 중심의 공간 제작 유연한 팀 빌딩 등로주의 철학 제5장 | 문화기획형 창업 역전략도 전략이다 예술과 지역·사람·공간 연결 소비자가 아니라 파트너 자생적인 커뮤니티 빌딩 네트워크 마을 맵핑과 마을 이야기 제6장 | 지역체험형 창업 단순 관광에서 체류와 경험으로 관계인구 정책의 유행 다차원적인 지역 관계 제7장 | 농업지향형 창업 사회적 농업 확산 개인 경작에서 콘텐츠 창농으로 로컬푸드와 가공식품 창농 창농 커뮤니티 임업 창농 제8장 | 문제해결형 창업 일방향 캠페인에서 사업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데이터 창업 지역을 알리는 새로운 방식 제3부 | 지역창업의 과제 제9장 | 지역창업의 특징 지역성 표출 청년의 주도력 다주체 지원 제10장 | 지역창업 지원의 과제 성과중심주의에서의 탈피 현장 밀착형 행정 지원 지방 공무원의 자율성 지원 결론 | 행복한 지역은 친구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