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연구보고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개발 및 조성사업 연구Ⅲ: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 개발 및 진단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형태사항
710 p: 삽도, 27cm
일반주기
연구보고 15-R12-2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952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5953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595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595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지역사회로 하여금 청소년 친화적 환경 조성과 관련하여 부족한 부분이나 강화해야 할 부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분석에 이르고자 한다. 특히 청소년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학교 급별 차이와 지역 간 차이를 연계 종합하여 살펴봄으로 심화 고찰하고 16개 지역별 영역별 지수에 대해 심도 있게 탐색하고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종합지수를 산출하고자 한다. 방법론적으로 설문조사, 전문가의견조사, 전문가 자문 및 워크숍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9개 영역 가운데 4개 영역인 관계영역, 주관적 웰빙 영역, 건강영역, 그리고 교육영역 모두 남학생, 학년이 낮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나아가 양부모가정, 한부모가 직업을 가질수록, 대도시 거주자이고, 종교를 가질수록 관계만족도가 높았고, 주관적 웰빙의 수치가 높았으며, 정신적·신체적 건강상태가 양호했고, 학교교육과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의 전 영역에서 학생의 타고난 천성이나 기질 즉 ‘외향적인 성격의 정도’, 질병의 유무 그리고 친부모와의 동거 여부가 행복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셋째, 영역지수는 영역별로 지역 간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관계영역은 부산에서 단연 높은 반면 전남과 울산에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주관적웰빙 영역은 부산에서 높고 전남에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건강영역은 대구와 강원에서 높고 전남과 경북에서 낮은 것으로, 교육영역은 경북과 부산에서 높고 경기와 서울에서 낮으며, 안전영역은 부산에서 매우 높은 것으로, 또한 활동영역은 인천, 강원, 경기에서 높고 전남, 충북, 광주에서 낮은 것으로, 참여영역은 제주에서 가장 높은 반면 울산과 전북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환경영역은 강원과 제주에서 높고 경기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그리고 경제영역은 경남, 충남, 울산에서 높고 강원과 전북에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종합지수는 부산에서 가장 높고 인천과 제주에서 그 다음으로 높은 반면 전남, 충북, 전북 등의 순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다섯째, 지역별로 9개 영역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취약한 영역은 서울과 경기의 교육영역, 부산, 대구, 강원, 그리고 전북의 경제영역, 인천 환경영역, 광주, 충북, 전남, 그리고 제주의 활동영역, 대전, 경북, 그리고 경남의 건강영역, 울산의 참여영역, 그리고 충남의 안전영역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와 더불어 해당 지방정부의 청소년 행복증진을 위한 정책 추진이 시급한 구체적인 분야와 정책적 노력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종합적인 진달 결과에 기초하여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의 활용을 위한 정책으로 행복도가 낮은 대상에 대한 맞춤형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이해당사자들(청소년·학부모·교사 등) 사이의 청소년 행복에 대한 인식차이 개선 및 극복을 위한 소통 및 공존의 장 마련이 필요함. 청소년 행복지수 개선을 위한 지자체별 권고안 개발과 모니터링, 행복지표 분석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우선순위 결정, 행복지수가 낮은 지자체에 대한 사회복지적 투자 강화 및 컨설팅 실시, 청소년 행복지수 향상을 위한 공공 캠페인 및 실천 운동 전개, 청소년정책예산 DB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시계열 관리 및 평가, 지역별 청소년 행복지수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전담기구 설치·운영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패널자료 구축을 통한 행복지표의 관리, 관련 조사기관과의 DB네트워크 협력체제 구축 및 지표항목의 첨가, 청소년 통계 DB화 및 홈페이지 서비스, 청소년의 행복과 관련하여 최소한의 행복기준(Local Happiness Minimum) 정립, 그 외 지역별영역별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7 3. 연구방법 11 Ⅱ.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 개발 및 타당화 15 1. 국내·외 선행연구 17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 개발 과정 70 Ⅲ.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와 기초통계 91 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 자료 수집 93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 실태 123 3.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에 만족도 결정요인분석 292 4.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 청소년, 부모, 교사의 영역별 만족도 비교 299 5. 소결 331 Ⅳ.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의 정의와 측정 335 1. 관계영역 337 2. 주관적웰빙 영역 357 3. 건강영역 363 4. 교육영역 387 5. 안전영역 399 6. 활동영역 419 7. 참여영역 439 8. 환경영역 451 9. 경제영역 459 10. 소결 484 Ⅴ.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종합지수 산출 507 1. 삶에 대한 만족도 509 2.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종합지수 514 Ⅵ. 결론 및 정책제언 545 1. 결론 547 2. 정책제언 552 참 고 문 헌 565 부 록 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