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행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 형태사항
- 306 p: 삽도, 26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0002493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249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목차
목차
Ⅰ. 서론 ㅣ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ㅣ 3
2. 연구 내용 ㅣ 5
가.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ㅣ 6
나. 교과 교육과정 개선에 따른 교수?학습 실천 전략과 적용 방안 탐색 ㅣ 7
다. 핵심역량 계발에 적합한 교육평가 실천 전략과 적용 방안 탐색 ㅣ 8
라.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지원 방안 탐색 ㅣ 8
3. 연구 방법 ㅣ 9
가. 문헌 분석 ㅣ 9
나. 설문조사 ㅣ 9
다. 전문가 협의회 및 전문가 Working group 구성·운영 ㅣ 10
라. 워크숍 및 세미나 ㅣ 12
Ⅱ.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탐색 방향 설정 ㅣ 13
1. 미래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의미 및 특징 ㅣ 15
가. 핵심역량의 의미와 범주 ㅣ 15
나.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성격 및 특징 ㅣ 20
2.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 방향 설정 ㅣ 22
가.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방향 설정 ㅣ 22
나. 교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 방향 설정 ㅣ 24
Ⅲ.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ㅣ 27
1. 국어과 개선 방향 ㅣ 29
가.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의 접근 유형 ㅣ 29
나.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 ㅣ 30
다.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 분석 결과가 주는 시사점 ㅣ 49
나. 국어과의 중점 핵심역량 계발과 교육과정 구조화 방향 ㅣ 51
다.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현황 ㅣ 67
라.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ㅣ 73
2. 사회과 개선 방향 ㅣ 93
가.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사회과 교육과정 ㅣ 93
나. 사회과 중점 핵심역량의 선정과 의미 ㅣ 112
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현황 ㅣ 128
라.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ㅣ 144
3. 체육과 개선 방향 ㅣ 159
가. 외국의 핵심역량 기반 체육과 교육과정 분석 ㅣ 159
나. 체육과 중점 핵심역량의 선정과 의미 ㅣ 165
다.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 현황 ㅣ 171
라.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체육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181
Ⅳ.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실천 방안 ㅣ 193
1.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선행연구 분석 ㅣ 195
가. 핵심역량 계발 관련 국내외 교육과정 연구 ㅣ 195
나. 핵심역량 관련 국내외 교수·학습 연구 ㅣ 197
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시사점 ㅣ 199
2.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향성 ㅣ 201
가.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향 설정 절차 ㅣ 201
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방향 ㅣ 202
다. 협력과 탐구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적용 방향 ㅣ 206
3.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사 역할과 수업 전략 ㅣ 208
가. 수업 계획 및 실행자로서의 역할 ㅣ 208
나. 학습관리자로서의 역할 ㅣ 215
Ⅴ. 미래 핵심역량의 평가 방안 ㅣ 219
1. 미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평가의 필요성 ㅣ 222
2. 미래 핵심역량 평가 현황 ㅣ 223
가. 중학교 ㅣ 223
나. 초등학교 ㅣ 225
3. 미래 핵심역량 평가 전략 ㅣ 229
가. 평가의 목적 진술 ㅣ 229
나. 잠재적 속성(또는 기능)에 대한 모형 결정 ㅣ 230
다. 평가 과제의 개발과 분석 ㅣ 230
라. 심리측정 모형의 상세화 ㅣ 232
마. 모형 추정을 위한 통계적 방법의 선택 ㅣ 232
바. 피험자와 교사 등을 위한 결과 보고 ㅣ 233
4. 미래 핵심역량 관련 평가 도구 ㅣ 235
가. 문제해결(problem solving) 능력 평가 ㅣ 235
나. 의사소통과 협력 평가 ㅣ 237
다. 창의성(creativity) 평가 ㅣ 240
라.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 평가 ㅣ 241
마. 비판적 사고 평가 ㅣ 242
바. 자기-주도적 학습 ㅣ 242
5. 교과 기반의 미래 핵심역량 평가 사례 ㅣ 244
Ⅵ. 요약 및 정책 제언 ㅣ 251
1. 요약 ㅣ 253
가. 미래 핵심역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개선 방향 설정 ㅣ 253
나.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ㅣ 254
다.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실천 방안 ㅣ 257
라. 미래 핵심역량의 평가 방안 ㅣ 258
2. 정책제언 ㅣ 259
가. 핵심역량 중심의 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ㅣ 259
나. 핵심역량 중심의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실천을 위한 제언 ㅣ 262
* 참고문헌 ㅣ 271
* 참고사이트 ㅣ 283
* ABSTRACT ㅣ 285
* 부록 ㅣ 289
[부록 1]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의견 조사 ㅣ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