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기술발전에 따른 여성 일자리 전망과 대응전략(Ⅰ)

발행사항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형태사항
536 p: 삽도, 24cm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853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853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및 방법 4 Ⅱ. 기술의 발전과 여성 일자리 변화 추이 9 1. 여성 일자리 추이(2001~2017년) 13 가. 산업별 일자리 변화 15 나. 직종별 일자리 변화 23 다. 여성 임금근로자의 고용 안정성 29 라. 여성의 임금 추이 43 2. 기술 대체에 따른 여성 직종 변화 65 가. 2025년까지 직업별 기술 대체비중에 따른 직종 구분 66 나. 업무능력대체별 직종 특성 72 3. 소결 87 가. 직종 분리 현상의 지속 87 나. 여성 고용지위의 변화와 임금 그리고 차별적 요소 88 다. 직종별 임금격차의 변화와 여성 선호 직종 위기 89 라. 기술 대체에 따른 여성 직업의 미래 전망 91 Ⅲ. 여성 일자리와 숙련 93 1. 여성 직종의 변화(2008 vs 2017) 95 2. 여성 직종의 숙련 변화 100 가. 분석 방법 100 나. 분석 결과 104 3. 소결 133 Ⅳ. 델파이 조사 결과 분석 137 1. 조사개요 및 응답자 특성 139 2. 기업의 기술발전 체감과 대응 태세 144 가. 사업장에서의 기술 도입과 변화 144 나. 기술발전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 152 다. 직무에서의 디지털 적용 현황과 예측 159 3. 직군별 디지털 전환과 고용인력 예측 166 가. 직군별 디지털 전환 현황과 예측 166 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잔여인력 및 고용규모 예측 169 다. 잔여인력 대처방안 173 4. 기술발전의 대응방안 180 가. 근로자 권익 보호 방안 180 나. 직업기초능력 수요 예측 182 다. 근로자 재교육의 필요성 187 5. 소결 188 가. 디지털 전환에 대한 산업현장의 인식: 대기업 vs 중소기업 189 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전체 일자리 vs 여성 일자리 190 다. 일하는 방식의 전환: 새로운 일자리의 출현 192 라. 숙련성에 따른 기업의 잔여인력과 여성 일자리 193 마. 재직자 대상 재교육 훈련에 대한 준비 미흡 195 바. 기초직업능력에 대한 변화 196 Ⅴ. 기술발전과 여성 일자리에 대한 FGI 결과 분석 197 1. 조사개요 199 가. 조사의 목적 및 대상 199 나. 조사내용 202 2. 기존 노동시장의 변화: 일반사무직과 금융사무직 206 가. 기업의 기술발전 체감 및 적용 현황 208 나. 기술발전과 일자리 변화 212 다. 기술발전으로 인한 미래 여성 일자리 전망 217 라. 기업의 기술발전 대응방안 224 3. 기술발전과 플랫폼 노동 232 가. 가사·돌봄서비스 영역의 플랫폼 노동의 현안과 실태 233 4. 소결 269 가. 기존 노동시장에서의 변화와 전망 269 나. 기술발전과 플랫폼 노동 273 Ⅵ. 정책방안 279 1. 종합요약 281 가. 여성 일자리 추이와 기술대체 여성 일자리 전망 281 나. 여성 일자리와 숙련성 284 다. 디지털 전환 실태 파악을 위한 기업?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285 라. 기존 노동시장의 변화와 새로운 노동시장에 대한 초점 집단면접 분석 결과 287 2. 여성 일자리 대응 전략 293 가. 노동시장 일자리 변화에 대한 예측 293 나. 기술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시스템의 마련 302 다. 고숙련·포용적 여성 일자리 대책 마련 309 참고문헌 319 부 록 323 Abstract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