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로그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연구보고서연구보고 18-R1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Ⅵ: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분석 및 청소년동아리활동과 마을공동체 지원 방안

발행사항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형태사항
404 p: 삽도, 24cm
총서명
연구보고; 18-R11
서지주기
참고문헌을 포함하고 있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8317대출가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0002831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2831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등록번호
    000283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책 소개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및 조성사업 연구 Ⅵ’의 연구목적은 지난 4개년 간의 청소년행복지표의 비교 분석과 시계열 자료를 축적하고, 아울러 ‘지역자원 연계 청소년동아리활동’의 시범사업 운영과 ‘마을교육공동체’ 현장사례 조사를 통해 지역별 특성의 분석과 필요한 정책 제언을 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① 청소년행복지표의 조사?분석 및 국제비교 ②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 운영에 대한 시범사업(3개 지역) 운영 및 성과분석 ③ 청소년활동 관련 마을공동체사업(4개 지역)을 통한 요인분석 및 시사점 도출 ④ 영역별 정책과제 발굴 등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시범사업, 설문조사, 현장 면접조사, 콜로키움, 정책포럼,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건강 증진 지원 및 관리 시스템 구축과 청소년 참여 역량 및 권리 의식의 제고가 필요하며, 청소년활동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 활성화를 위한 제도 마련 및 협력망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마을공동체 단위에 청소년활동 시설·공간인프라 및 놀이·여가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민간청소년활동지도자’ 양성 및 관리체계를 확대 운영해야 한다.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내용 5 3. 연구방법 13 4. 연구추진 체계 18 Ⅱ.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활동의 현황 및 국내외 동향 19 1.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조성 시범사업’ 3년(2015~2017)의 성과와 시사점 21 2.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의 중요성 27 3. 지역사회 청소년활동과 ‘마을교육공동체’ 연계 방안 29 4. 청소년동아리와 마을공동체에 관한 국내외 사례 32 Ⅲ. 청소년이 행복한 지역사회 지표조사 45 1. 조사개요 47 2. 모집단 분석 48 3. 표본설계 55 4. 가중치와 모수추정 63 5. 지표의 구성 및 조사내용 67 6. 조사결과 81 7. 소결 210 Ⅳ. 조사 결과에 대한 심층 분석 및 국제비교 215 1. 연령-기간-코호트에 따른 행복 수준의 차이 217 2.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국제비교 233 3. 소결 252 Ⅴ.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동아리활동 시범사업 주요 내용 및 평가 255 1. 2018 시범사업 운영 개요 및 설계 257 2. 서울시 ‘공릉청소년정보문화센터’ 시범사업 활동 내용 및 논의 260 3. 성남시 ’중원청소년수련관’ 시범사업 활동 내용 및 논의 273 4. 전북 ‘완주군청소년수련관’ 시범사업 활동내용 및 논의 280 5. 시범사업 효과 분석 288 Ⅵ. 청소년동아리활동과 마을공동체 운영의 특성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307 1. 지역사회 연계 청소년동아리 시범 지역 FGI 분석 309 2. 청소년참여 마을공동체 현장 사례조사 316 3. 청소년동아리활동과 마을공동체가 청소년 성장에 미치는 영향 340 Ⅶ. 연구 결과 활용방안 및 정책 과제 제언 343 1. 정책추진 방향 345 2. 정책과제 발굴 및 활용방안 346 참고문헌 369 부 록 379